KCI등재
사이버범죄와 정보보호전문인력 양성 = The Cybercrime and The Specialist Training on the Information-Security -Focused on Information-Security Cognition of undergraduat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안행정학회보(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DC
35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203(41쪽)
제공처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으로 기대를 모았던 사이버공간이 요즘은 정보화의 역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범죄 문제로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 결과 사이버공간은 이제 더 이상 희망의 공간이 아니라 범죄와 일탈이 난무하는 기피공간으로 전락할 가능성 마저 보인다. 특히 사이버범죄의 경우 그 개념규정과 분류가 어려우며 단속의 한계로 인해 어려움이 많다. 사이버범죄에 대한 최상의 대책은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사이버범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건전한 사이버공간 활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이버공간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보호교육과 함께 사이버공간확대에 대응하는 정보보호인력을 양성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보보호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단기적 방안과 장기적 방안을 제시했다. 단기적 방안으로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과 정보통신교육원의 교육기능 강화를 장기적 방안으로는 대학의 정보보호교육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서 정보보호관련 학과 또는 전공설치 지원과 정보보호 교과목의 개설 및 확대, 정보보호 자격증제도의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Cyberspace can bring huge possibilities and unlimited expectations however we are also facing with many serious problems related with cybercrime. Consequently, theses days, it is said that cyberspace is not a ideal space because it fail to avoid crime and rampage. Cybercrime is a tough problem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ceptualize and classify the cybercrime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gulating cybercrime.
The best policy about cybercrime is to build proper awareness and to make better use of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users. Therefore, we have to train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s and expand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existing theories and the survey's finding, this study proposes a two-part policy plan: a long-term plan and a short-term plan. As a short-term plan, this paper propose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roles of the Korean Information Security Center and the Academic Institution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As a long-term plan, it recommends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building of departments concerned with information security in universities, increase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and establish a system of certific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