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의 삶의 질 측정모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 Measurement Model of Life Quality in a Mobile-environ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02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1(21쪽)
제공처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모바일환경(Mobile-environment)에서의 삶의 질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삶의 질의 개념은 삶의 주체인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삶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quality of life)'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개인과 환경과의 적합성(Person-environment fit)'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삶의 질 측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2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8개의 삶의 질 차원과 차원별로 최종선정된 측정항목 38개를 가지고 각 차원별로 측정항목들간에 존재하는 명확한 단일차원성(unidimentionality)을 확인하고 구성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를 평가하기 위해 AMOS 5.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한편 지표구성 항목에 대해 타당도를 확인하고 구성항목 간의 내적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알파신뢰도계수(Cronbach α-reliability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또한 부가적으로 성별과 이동통신이용 만족도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환경에서 삶의 질의 구성요소는 7가지, 즉 사회성, 여가문화, 기능성, 안전성, 경제성, 건강성, 자율성으로 밝혀졌다. 둘째, 구성요소의 개념에 따른 각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얻은 측정모형의 전반적 적합지수는 ×2, RMR, GFI, AGFI, NFI의 기준에 비추어 볼 때 대체로 평가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환경에서의 삶의 질의 측정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가적으로 이동통신이용 만족집단이 불만족 집단보다 여가문화, 기능성과 관련한 삶의 질 수준이 더 높다는 것과 남자가 여자보다 이동통신이용 만족도와 기능성측면에 있어서의 삶의 질에 더 관계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모바일환경에서 삶의 질의 구성요소와 측정모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잠재변수(구성개념construct)들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척도들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개발된 측정모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평가와 적용이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환경에서 주관적 삶의 질을 과학적이고 경험적으로 측정한 척도를 제공함으로써 정보화의 궁극적인 목표인 기술적 진보와 삶의 질 향상 간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삶의 질 수준이나 가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더보기The article defines a concept of life quality and tests a validity of measurement method in a mobile-environment. The concept of life quality is defined as a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ch is measured in terms of the person-environment fit. The scale of measurement consists of 8 dimensions of life quality and 38 measurement items.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is perform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ich utilizes AMOS 5.0. I produce the Cronbach a-reliability coefficient in order to comprehend a validity and a consistence between indexes. I use the two-way ANOVA to test differences of life quality between sex and a fulfillment of mobile user. I can summariz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the elements of life quality in the mobile-environment consist of sociality, leasureㆍculture, function, security, economy, health and autonomy. Second, the total fit index satisfies the assess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satisfactory group is higher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leasureㆍculture and the function than the unsatisfactory group, and men's group is higher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fulfillment and the function than women's. This article finds out new scales and constructing elements of life quality. The developed measurement model can be applied to assessments to general relations between a quality of life and a mobile environment. The thesis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seeks for a balance between a technological progress of informationization and an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s providing the scales to measure scientifically and empirical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he mobl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