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차문화가 삶의 질적 향상에 미친 영향 연구 : (사)국제차문화교류협력재단 차문화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Tea Culture to the Quality of Life-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Tea Culture Associ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8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4(24쪽)
제공처
사)국제차문화교류협력재단에서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소비를 유도하고 동시에 문화소비자와 문화생산자 계층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국차재의 다양한 차문화 교육활동이 삶의 질적 향상과 문화의식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국차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차재는 1990년 2월 1일 창립하여 현재 이진수 총재를 중심으로 전국에 약 6,000여명의 회원과, 55명의 법인이사, 138명의 정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은 현재 전북 군산시 나포면 나포리 377-2에 위치하며, 중점교육원으로는 서울인사동문화센터를 비롯한 8곳이 전국에 분포되어 있고, 32곳의 지역교육센터가 있으며, 연합회도 10개가 있다.
주요 국내외 교류 활동으로는 1990년 창립한 이래, 2004년 한국제다와의 공동협력과 중국 절강수인대학과의 교류 협정을 맺으면서 본격적으로 국내외 교류를 시작한다. 이후 국외로는 일본, 대만, 중국안휘농대 및 절강차관협회와 인도, 홍콩 등과 국내로는 하동, 군산, 부산 등 폭넓은 교류를 하고 있다.
주요 교육활동으로는 1993년 “군산예지원”을 설립하여 차문화 교육을 실시하였다. 매년 기수별로 다도교실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전북지역10개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찾아가는 다도교실 개설, 커피바리스타 개강, 하동녹차생산자 아카데미, 하동차문화포럼, 국외 차문가 초청 등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주요 문화 활동으로는 한국명전, 가을들꽃 茶詩 만나리, TEA World Festival, 대구국제차문화축제, 익산국제차문화축제, 전주전통차문화축제, 서울차문화축제(덕수궁), 부산차문화축제, 현충일 차시음행사(서울 국립현충원), 보성다향제 카페쇼(한국차소리문화공원), 부여백제칠석차문화제 등이 있다.
학술세미나 활동은 2005년 6월 15일 서울코엑스 세미나실에서 “한중일 차문화”를 주제로 시작하여 2005년 2회, 2006년 2회 개최되었고, 2007년부터는 매달 1회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학술대회는 국차재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진행되는 사업 중의 하나로 차문화의 교육과 보급의 선두주자로 매우 큰 영향력을 펼치고 있다.
문화복지로서 차문화 예술교육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실제적인 정책도구가 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고, 국차재의 국내외 교류활동, 교육, 문화, 학술세미나 및 그 밖의 다양한 활동은 차문화를 통한 삶의 질적 향상에 매우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이다.
The Korean International Tea Culture Association leads cultural consumption through a varie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s as well as building a connection between culture consumer and producer.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ts various tea culture education activities have an impact on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cultural consciousness level, suggests direction towards the future.
Founded on February 1st in 1990, it has about 6,000 members, 55 corporate directors, and 138 full-time staffs nationwide with president Lee, Jin-su. Head office is located at 377-2 Napo-lee, Napo-myeon, Gunsan-city, Jeonbuk, and it has 8 main centers include Insa Cultural Center of Seoul, 32 regional education center, and 10 related associations.
After its establishment in 1990, it continues cultural exchange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lively. Beginning in earnest its live interchange activities from the mutual cooperation agreement with Zhejiang University in China, it continues widening its exchange path to worldwide covering Japan, Taiwan, China, India, and Hongkong besides domestic points of Hadong, Gunsan, and Busan.
Primary education activities started from tea cultural classes of "Gunsan Yejiwon" in 1993. Diverse tea and etiquette courses are running through the year; Opening tea cultur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of Jeonbuk province, setting up vigorous tea related education events such as coffee barista classes, tea producer academy, tea culture forum, and academic colloquium inviting foreign experts.
As major cultural activities, there are Korean Tea-fest, Autumnal Tea Poem Reading, Tea World Festival, Daegu International Tea Culture Festival, Iksan International Tea Culture Festival, Jeonju Traditional Tea Culture Festival, Seoul Tea Culture Festival(in Deoksugung Palace), Busan Tea Culture Festival, Memorial Day Tea Ceremony(in Seoul National Cemetery), Cafeshow at Boseong Green Tea Festival, Baekje Chilsuk Tea Culture Festival.
Academic activities embarked on June 15th in 2005 at Seoul Coex's seminar room under the subject of "Tea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thereafter hold twice in 2005, 2006, and once in a month from 2007. Currently it placed as most focusing business in the association, has taken a very big influence on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tea culture.
It is confirmed that tea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cultural welfare could be practical policy tool to heighten the quality of life. From this, we can partly assure the association'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and diverse cultural, educational functions playing a positive role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rough tea cul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