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비만과 역류성 식도염과의 연관성-공단 건강검진자를 대상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Reflux Esophagitis in helth check-up subjec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8-64(7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Background: Obesity has been known as a risk factor for reflux esophagitis and its prevalence h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bese popul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ny association between reflux esophagitis and obesity.
Methods: From March 2006 to December 2006, medical records of 3,354 people who underwent public corporation medical exam at a health clinic in a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flux esophagitis was defined as more severe than A class of LA endoscopic classification. And BMI was considered as the parameter of obes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reflux esophagitis was 9.2% (307 patients). The prevalence was higher among males 15.9% (208 person) compared to females 4.8% (99 patients). Obesity (P = 0.040), gender (P < 0.001), and alcohol (P = 0.025)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The OR of male was 2.80 (95% CI, 1.998~3.944), OR of second level obesity (BMI ≥ 30) was 1.96 (95% CI, 1.048~3.681) and OR of 3~4 alcohol drinks / wk was 1.64 (95% CI, 1.073~2.470).
In order of sequence, sex, BMI, and alcohol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Along with obestiy, increased endoscopic procedure and expansion of western lifestyle are contributing to the rising prevalence of reflux esophagitis.
In order to prevent reflux esophagitis it would be cost effective to control obesity.
연구배경: 비만은 역류성 식도염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국내에서도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이증가하고 있다. 이는 점점 비만인구가 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는 비만과 역류성 식도염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은 2006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모병원에서 공단 건강검진자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한 3,354명이었다. 역류성 식도염은 LA 분류를 이용하여 LA분류 A단계 이상으로 정의하였으며, 비만의 지표로서 체질량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은 9.2% (307명)였고 남자의 유병률은 15.9% (208명), 여자는 4.8% (99명)로 남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단순 상관분석에서 성별 (P < 0.001), 비만도 (P = 0.040), 음주 (P = 0.025) 등이 유의한위험인자였다. odds ratio가 남자인 경우 2.80 (95% CI, 1.998~3.944), 2단계 비만인 경우 1.964 (95% CI, 1.048~3.681), 주에 3~4회 음주하는 경우 1.62 (95% CI, 1.073~2.470)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성별, 체질량지수, 음주 순으로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비만이 역류성 식도염의 여러 위험인자 중 하나로 생각된다. 따라서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을 줄이기 위해 점점 늘고 있는 비만에 대한 교정이 필요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3-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비만학회지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2017-03-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7-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73 | 1.148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