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祭文抄의 특징과 편찬 목적 = The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purpose of “Funeral oration selection(祭文抄)”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63(3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제문은 故人을 추모하는 祭儀에 사용되며 죽음이라는 현실적인 요소와 결부되어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저명한 문인과 관련된 제문은 문인의 문집에 실려 전해지기도 하며, 혈연이나 학맥으로 결속된 집단에서는 선대 문인의 제문을 선별하여 집약ㆍ수록하기도 한다.
제문 選集인 祭文抄는 문인의 문집과는 별개의 유형으로 전해지며 ‘抄’라는 양식에 따라 필사자에 의해 선별된 제문이 주를 이룬다. 編纂은 문인의 제자 또는 문중에서 후손이 집록하기도 하는데 간혹 필사자의 성향에 따라 詩나 유명 문인의 글, 생활 편의를 위한 잡록이 함께 실리기도 한다.
편찬 목적에 따라 대표성을 띠는 제문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창협의 제문을 선집한 『農巖祭文抄』는 『農巖集』에 실린 48편의 제문과 비교하면, 18편이 누락되어 채록되어 있다. 이 제문초는 김창협의 후인이나 제자가 김창협의 제문을 필사한 것으로, 필사자 본인이 지은 제문 2편을 끝부분에 실어 놓았다. 『歷代祭文抄選』은 제문의 전범이라 할 수 있는 대가들의 제문을 선별하여 필사한 것으로 작자의 이름, 용어나 낱글자, 해당 문장의 상ㆍ하단에 세주 형태로 간단한 설명을 부기하여 내용 이해를 돕고 있다. 문장가로 저명한 陶淵明ㆍ韓愈ㆍ歐陽脩ㆍ蘇軾 등이 지은 제문들을 4언의 운문과 산문 형식을 구분하지 않고 시기별로 정리해 놓았다.
『嘉林四稿祭文抄選』은 李瑞胄와 그의 사촌 아우 李德胄를 비롯한 문중 내의 문인이 지은 제문을 모은 것이며, 李仁行의 제문을 선집한 『丁巳年祭文抄』는 이인행의 후손 李命杰이 문중에 전해지던 선대의 제문들을 집록하여 필사한 것으로, 당시 지방 유림들의 여러 작품이 망라되어 있어 인물 및 문중 간의 교유를 파악하기에 좋은 자료가 된다.
제문초는 수록 양상에 따라 문장력 성취를 위한 목적과 문중 간 결속을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 「農巖祭文抄」는 남에게 公示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집한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글쓰기 연습을 위해 김창협의 제문을 채록한 것이다. 또 「歷代祭文抄選」은 제문의 전범을 채록하고 세주를 달아 참조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장력 습득을 위한 전형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작자의 관계망이 비교적 잘 드러나 있는 「嘉林四稿祭文抄選」과 『丁巳年祭文抄』는 혈연으로 결속된 문중의 유대를 재확인하고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집한 것이다. 특히 『丁巳年祭文抄』에는 문중 내 친족에 대한 제문뿐만 아니라 다른 문중의 인물에 대한 제문과 그 문중으로부터 다시 받은 제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혈연 및 사우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인 네트워크와 소위 ‘글빚’을 매개로 한 문중 제문 특유의 채무적 성격 또한 포함되어 있다.
The funeral oration is used for memorial rites(祭儀) in remembrance of the deceased(故人)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in connection with the realistic element of death. A funeral oration related to well-known writers are often written and conveyed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writers, and in the groups bound to a blood relation and an academic line, the funeral oration of an ancestral writer is selected to be intergrated and contained.
Funeral oration selection(祭文抄), the collection(選集) of a funeral oration is handed down as a distinct type from the literary collection of a writer and consists mainly of the funeral oration selected by a transcriber according to the style of 'selection(抄)'. Compilation is collected and written by the disciple of a writer or the descendant in the family, but sometimes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a transcriber, there are also documents containing poems, writings by famous writers, and miscellaneous records for convenience of living.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ompilation, the following are the types of funeral oration selection that are representative. In the case of 『Nongam funeral oration selection(農巖祭文抄)』, which is an collection of the funeral oration of Kim Chang-hyeop, there are 18 records missing compared to 48 articles that contain 『Nongamjip(農巖集)』 and the second volume where a posterity or student of Kim Chang-hyeop transcribed his funeral oration and the transcriber himself created, was presented at the end of it. In case of 『Ancient funeral oration selection(歷代祭文抄選)』 the funeral orations of great masters, the classic of funeral orations were selected and transcribed and the name of the author, word or letter, and a brief description in the shape of annotations in detail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entence are added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The funeral orations written by Do Yeon-myeong(陶淵明), Han Yu(韓愈), Gu Yang-suh, and So Sik(蘇軾) we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out distinguishing four-letter verse and prose style here.
『Garimsago funeral oration selection(嘉林四稿祭文抄選)』 is a collection of funeral orations written by writers within the family including Lee Seo-ju(李瑞胄) and his cousin younger brother Lee Deok-joo(李德胄). 『Jeongsanyeon funeral oration selection(丁巳年祭文抄)』, the selection of Lee In-haeng(李仁行)'s funeral oration where Lee Myeong-geol(李命杰), a descendant of Lee In-haeng, collected and transcribed people's funeral orations handed down in his family, contains several works of local Confucian scholars at that time, making it a good source of understanding the exchanges between the figures and the family.
According to the pattern of including, funeral oration selection can be devided into the purpose of achieving sentence power and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bonds between families. 「Nongam funeral oration selection(農巖祭文抄)」 recorded the funeral oration of Kim Chang-hyeop not for the purpose of public announcement, but for the personal writing practice. 「Ancient funeral oration selection(歷代祭文抄選)」 can be referred to as compilations and annotations in detail of the classic of the funeral oration, indicating that it is a typical structure for learning the setence power. 『Garimseogo funeral oration selection(嘉林四稿祭文抄選)』 and 『Jeongsanyeon funeral oration selection(丁巳年祭文抄)』, in which the author's relationship network is relatively expressed well, was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bonds of the the united family and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In particular, 『Jeongsanyeon funeral oration selection(丁巳年祭文抄)』 contains a large proportion of not only the funeral oration about relatives within the familydoor, but also the funeral oration about people in other family and the funeral oration received again from that family, which reveal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3 | 1.005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