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인의관(仁義觀)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Misu Heo Mok’s View of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93(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허목은 춘추대의의 하나로 인의를 귀하게 여기고 사력을 천하게 여긴다고 하는 ‘인의의 가치관’을 제시한다. 그렇지만 ‘인의’라고 하는 단어는 『춘추』 경문은 물론 『춘추좌씨전』과 『춘추공양전』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춘추곡량전』에서 1회 보일 뿐이다. 이러한 사실은 ‘인의’라는 범주가 『춘추』 경문이 지어질 당시에는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공자 사상의 핵심인 ‘인’은 ‘사람다움’으로 정의할 수 있고, 맹자 사상의 핵심인 ‘의’는 ‘사람다움을 위한 도리’로 정의할 수 있다. 유교의 덕목을 ‘인의예지’로 표현하는 방식은 『맹자』에서 처음 보이는데, 맹자는 ‘인의예지’를 ‘인의’로 줄여서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때, ‘인의’는 ‘사람다움을 위하여 마땅히 행하여야 하는 도리’가 된다. 이후, 동중서에 의하여 ‘인의’는 『춘추』가 만든 법도로 받아들여졌으며, 주자학자들에 의해서 ‘인의의 가치관’은 춘추대의의 하나로 온전히 자리매김 되었다.
허목이 말하는 ‘인의’에는 이와 같은 다양한 논의가 모두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사람다움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허목에게 있어서, 그 기준은 지역과 국가, 그리고 역사에 대한 평가에까지 확대되어 작용한다. 무엇보다 경세가로서의 정책 제시 과정에도 나타난다. 그것은 바로 ‘예’를 통한 인의의 실현이다.
사람다움은 지극히 현실적이며,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주될 수 있다. 예컨대 공자가 그의 제자들과 나누었던 대화 속에서 제시된 사람다움의 모습은, 현재의 시점에서도 여전히 손색없는 덕목들이다. 허목이 경세가로서 또 사상가로서, ‘인의’를 주창할 수 있었던 것은, 이렇듯 시·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치 않는 사람다움의 덕목들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동시대의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사람다운 삶을 꿈꾸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Heo Mok(許穆) presents ‘the values by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as one of ‘the Moral principl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大義)’. But the term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仁義)’ does not exist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Of course, it does not exist in Zuo’s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左氏傳) and The Gongyang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公羊傳), too. It appeared only once in The Guliang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穀梁傳). This fact suggests that the category of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did not receive attention whe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as being written.
The core of Confucius’ ideology, ‘the Humanity(仁)’ can be defined as ‘the human virtues’, and the core of Mencius’ ideology, ‘the Righteousness(義)’ can be defined as ‘the obligation for human virtues’. The method of expressing Confucian virtues as ‘the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智)’ is first seen in Mencius, and Mencius abbreviated it again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At that time,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becomes ‘the obligation to practice for human virtue’. Later, by Dong Jungseo(董仲舒),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was first accepted as a law enacted by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by Neo Confucian scholars, ‘the value criteria by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has been fully established as one of the Moral principl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The value criteria by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by Heo Mok, covers all of these various discussions. It serves as a criteria for evaluating the human virtues. In Heo Mok’s ideology, it has been extended to regions, countries, history and functions as a criteria for value judgment. Above all, it is also acting on his administrative policy. It is the achievement of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through practice of the ritual.
The human virtues are extremely realistic and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in concrete and practical ways.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he Humanity presented in the conversation Confucius had with his disciples can still function at the present. Heo Mok as a statesman and a thinker, could advocate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that because he understood that the human virtues do not change despite the changes in time and space. Above all, it is understood that he dreamed of living with the people of his time and living based on the human virtu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