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술영재성 개념 정립을 위한 문헌 고찰 연구 = A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on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7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1-259(29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영재교육진흥법이 공포된 이후, 미술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전국적으로 미술영재교육이 확산된 반면 아직도 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며, 미술영재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고 있다. 이는 미술영재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부재 때문으로 이를 규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영재성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 영재성의 개념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술영재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영재성은 뛰어난 능력, 창의성, 동기 및 태 도 등 내재적 요인과 환경적, 발달적 관점 등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미술 영재성은 미술을 잘하는데 필요한 타고난 재능으로써 잠재된 능력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미술 분야에서 최고의 성취를 이루도록 영향을 주는 심리학적 특성으로 정의할수 있다. 외재적 요인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고 일반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미술영재성올 미술 분야에서 요구하는 미술적 능력, 창의성, 동기 및 태도 등 내재적 구성 요인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적 능력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었던 표현 능력 뿐 아니라, 감상 및 비평 능력 둥과 같은 인지적 측면과 현대 미술적 맥락을 반영한 사회, 문화적 이해 및 공감 능력 등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며, 창의성에서는 창의적 사고과정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정서적, 인지적, 미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동기 및 태도는 미술영재성 발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외재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and develop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purpose. first. I collected extensive definitions of the giftedness and reorganized it as above ability. high motivation and creativity with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factors. Such external factors help to maximize one's ability so that we have to consider them in identifying and educating the gifted.
Secondly. I reviewed a literature on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visual arts and defined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giftedness in general.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consists of above ability in visual arts. creativity. and high motivation including other affective factors. Above ability in visual arts can be defined as cognitive skills and visual expressivity. Along with the paradigm changes in art education. the visual expressivity. creativity. understanding arts. and sociocultural communication have been emphasized in chronological order. Sociocultural communication from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reflects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o that it should be further discussed. To do so. I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paradigms of art education as 1) content-based art education. 2) using multimedia. 3) interdisciplinary approach. 4)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fter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art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consists of critical inquiry on social. cultural issues, empathy and communicating skills, interdisciplinary thinking. and digital multimedia literac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 KCI후보 |
2005-05-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5 | 0.74 | 0.916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