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국악교육사에 관한 연구 현황 분석 =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n Korean Music Education
저자
정모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43(1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왔을 국악교육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에 앞서 그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영역별로 분류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교육학 영역 안에서 국악교육사를 살펴보고자, 한국교육사, 음악교육학, 국악교육학 안에서의 국악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 음악사 영역인 한국음악사 안에서의 국악교육사를 살펴보았다. 이후 음악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을 국가음악기관 관련 연구와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논저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육사에서는 음악교육에 관한 언급 자체가 소략하여 국악교육사에 대한 세세한 기술은 기대하기 어렵고, 음악교육학과 국악교육학에서도 국악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단행본은 찾기 어려웠으며, 국악교육을 위한 한국음악사라는 간단 서술 정도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한국음악사의 여러 논저들은 국악교육사에 관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있지는 않아 아쉬움이 있지만, 국악교육사 연구를 위한 훌륭한 지침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논저들 중 국가음악기관에 관해 음악사적으로 연구한 글들은 다수 보이지만 국악교육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저들은 많지 않다. 그중,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간추려보면 6편이 대표적인데, 전인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 국가음악기관의 교육관련 연구, 현대 교육적 관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관점의 논저들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한국음악 분야에 있어 전통음악 전승의 역사를 음악교육의 역사로 보는 시각이 미미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한국음악사와는 별개로 교육학적 시각에서 국악교육사가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학적 관점에서 각 시대별로 전승된 음악적 형태들을 찾고 그에 따른 교육 이념과 사상, 교육 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정리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음악사를 통해 각 시대별 음악의 수용자, 향유계층을 밝히고 그 음악의 전승 형태에 대한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reviews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confirm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must have been passed through ancient times. First, I looked 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Then I reviewed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Finally, explored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related to Korean education history.
As a result,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music education is rarely mentioned, so detailed mentio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not expected. Also, in a lot of music history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Korean music history books, books that systematically summarized Korean music education history were difficult to find. It was only briefly mentioned as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Research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does not directly include content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but they will provide great guidelines for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Among the research, many of them studied national music institute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history,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 are 6 research articl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y, and they can be put into three categorie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ll-round education, research of national music institute abou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Korean music scholar, and research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passed down the generation was not typically considered a part of history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s a separate academic field from history of Korean music. To achiev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Korean music, we must find the forms of music that were performed in each generation, and must organize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 purpose, and methodology accordingly. We must also identify the class which played and enjoyed music in each generation through exploring Korean Music History and systemize research on how each music has been passed dow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3-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51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