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일반촬영 검사 시 보호자 참여의사와방사선에 대한 인식도 조사 = Survey of the participant intention of guardians and the awareness of radiation in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저자
곽종혁(Jong-Hyeok Kwak) ; 박찬혁(Chan-Hyeok Park) ; 윤진호(Jin-Ho Yun) ; 현진경(Jin-Kyeong Hyeon) ; 김준혁(Jun-Hyeok Kim) ; 오용석(Yong-Seok Oh) ; 김성건(Seong-Geon Kim) ; 최민경(Min-Kyeong Choi) ; 한미래(Mi-Rae Han) ; 김길환(Gil-Hwan Kim) ; 이하나(Ha-Na Lee) ; 정성우(Seong-Woo Jeong) ; 이창호(Chang-Ho Lee)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3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57(11쪽)
제공처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amination and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adiologist and the guardians by investigating participants and their perception of radiation about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From June 1, 2017 to December 31, 2017, th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for the guardians of children who visited the P Hospital in Yangsan, Kyung-nam Province. The number of subjects was calculated using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 * power 3.1 analysis. Estimated sample size was calculated as 93 when it was the moderate effect size of 0.15 for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95% for the power of tes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and the awareness of radiation exposure prevention of 1, which is related 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guardian. A total of 210 people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recovery rate and insufficient number of responses. All items were evaluated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except for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and participant intention.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variables were evaluated based on Chronbach s Alpha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the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omply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Result: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variables were more than 0.6 in Chronbach’s Alpha, 0.645 for Psychological status at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0.667 for radiation recognition, and 0.666 for radiation exposure prevention recognition. In the recognition survey of guardian participant intention, to this question “Have you ever been involved in the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in the past?” Yes (66.2%) and No (33.8%) were answered.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the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were request of radiologist (46.0%) own volition and by child’s request (20.9%). To the question of “Do you think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yes (84.3%) and no (15.7%) were responded. The question “If you are willing to participate, why?” showed 80.8% for the stability of the child and 18.1% for the confirmation of the exact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ite. The question “What if there is no intention to participate?” were 54.8% , 19.4%, and 12.9% due to radiologist’s duty, negative health effects and vague fear of radiation exposure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children (p<0.05) in th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status of the guardians in the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ender, childhood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perception of prevention of radiation exposure of guardians in general radiography of children (p<0.05).
Conclusion: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guardians at the general radiography recognized the need for accompanying examination with them due to the stable and accurate examination of the children. 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as distrust of radiologists or dangerous to the physical hazards of radiation exposur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liminate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children and to induce the guardians to accompany in the pediatric examinati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lans to explain the examination method and the necessity of wear protective equipment are needed.
목 적:소아 일반촬영 검사 시 보호자들의 참여 여부와 방사선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함으로써 검사자인 방사선사와 보호자의 상호 의사소통을 원활히하고 검사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남 양산 소재 P대학병원에 내원한, 소아 아동이 있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 대상의 수는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 * power 3.1 analysi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예상 표본수는 단순 회귀분석을 위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 0.15, 검정력 95%, 유의수준 0.05, 보호자의 인식도와 관련성이 있는 변인인 방사선 피폭방지인식도를 1로 하였을 때 93명으로 계산 되었고, 회수율과 불충분한 응답 수를 고려하여 총 210명을 선정 일반적 사항 및 참여의사 여부에 관련된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을 Likert 방식의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1.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자료 분석하였고 Chronbach s Alpha계수를 근거로 변수를 평가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 및 참여의사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부합 되도록 평균차 분석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 단순 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등을 시행하였다.
결 과:변수의 신뢰도 분석결과는 소아 일반촬영 시 심리 상태 0.645, 방사선 인식도 0.667, 방사선 피폭 방지 인식도 0.666으로 Chronbach s Alpha 0.6이상이었다. 소아일반촬영 시 보호자 참여의사 여부 인식도조사에서 “ 과거에 소아 일반촬영에 참여해 본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66.2%), 아니다(33.8%)로 나타났다. 소아 일반촬영에 참여해 본 경우, 참여한 이유는 방사선사의 요청 (46.0%), 본인의 의지(28.8%), 아이의 요청 (20.9%)로 나타났다. “소아 일반촬영 시 보호자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84.3%), 아니다(15.7%)로 나타났다. “참여할 생각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아이의 안정을 위해(80.8%), 부위에 따른 정확한 검사확인을 위해(18.1%)라고 나타났으며, “참여할 생각이 없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방사선사의 업무이기 때문에(54.8%),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19.4%), 방사선 피폭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12.9%)로 나타났다. 소아 일반촬영 시 보호자의 심리 상태 인식도 분석에서는 성별, 소아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소아 일반촬영 시 보호자의 방사선 인식도 분석에서는 성별,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소아 일반촬영 시 보호자의 방사선 피폭 방지에 대한 인식도 분석에서는 연령, 성별, 소아 연령,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연구 결과에서 볼 때 소아 일반촬영 시 보호자들은 우선적으로 아이의 안정과 정확한 검사를 위해 방사선사와 동반검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방사선사의 불신이나 방사선의 피폭에 대한 신체적 위해요소에는 그다지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소아 일반촬영 검사 시 그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보호자의 동반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사방법과 보호 장구 착용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