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당 유적 고총의 제기(祭器) 구성과 외래계 토기 : 조영EⅢ3호묘를 대상으로 = Ritual Vessels and Foreign Potteries Excavated from Imdang Ancient Tombs–Focusing on Joyeong EⅢ3 Tomb
저자
김대환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 학예연구사)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45(19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에서는 고총이라는 지배층 또는 엘리트 무덤에 부장된 토기를 통해 제기 구성을 정리한 후 경산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기 어려운 토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논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고총을 대상으로 하기보다 최근 보고된 경산 임당지역 고분군 조영EⅢ3호묘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EⅢ3호묘를 선정한 이유는 개별 기종별로 기술적인 특징이 잘 보고되어 외래계 토기의 변별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외래계 토기 일부는 장송의례에 참여한 다른 지역 정치체 사람들이 조문과 같은 행위에 지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물론 그 안에는 장송의례에 중요한 제수가 담겨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추정이 타당하다면 당시 신라 지방 엘리트의 장송의례에 조문과 같은 행위가 있었고, 그것은 정치체 사이에 아주 중요한 행위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또 그러한 장소에서 공통된 제기를 사용하고, 같은 제수를 사용하는 행위는 광역의 신라라는 공동체 의식을 인식 및 강화시키는 매우 중요한 이데올로기적 실천이었을 것이다. 앞으로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외래계 토기의 제작지를 찾아 지역 정치체의 중요한 장송의례에 참여한 주변지역 정치체를 밝히고, 통시적으로 참여한 지역 정치체의 구성을 찾아 변화를 찾아낸다면 신라 중앙과 지방의 관계사뿐만 아니라 지방을 구성했던 지역 정치체 사이의 상호작용 변화까지도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potteries excavated from Joyeong EⅢ3 Tomb, which is a part of the Imdang Ancient Tombs, and classified the group of potteries with regards to the composition of ritual vessels. Among the group, the author defines some potteries as foreign products estimated to have been introduced from other areas, and presents the assumption that such artifacts were introduced from polities of other regions by those visiting the region of excavation for funeral ceremonies. Naturally, the potteries would have been filled with important sacrificial offerings for ceremonial use. If the assumption is valid, it can prove that funeral ceremonies for local leaders in the Silla region were visited by neighboring political bodies to offer condolences, which held vital significance as 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polities. Moreover, the common usage of the same types of ritual vessels and offerings for such an occasion would have constituted a crucial form of ideological practice as a means of proclaiming and strengthening a sense of community. This paper was unable to identify the original place of production for the foreign potteries, but such a discovery would identify the specific polity that participated in the funeral ceremonies of other polities, while identifying the diachronic changes of political bodies that participated in the ritual would reveal not only the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central Silla and outlying provinces but also 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bodies that occupied the are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