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 비교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52(44쪽)
제공처
왜 페미니스트들은 민족주의에 대해 심사숙고하는가? 왜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관행을 단지 강화할 뿐이라고 주장되는 민족주의로부터 거리를 유지하지 않는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그리 간단치 않다. 우리는 민족주의가 지닌 엄청난 동원력을 도외시할 수 없고, 여성 대중은 어떤 방식으로든지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 민족국가의 발전 과정은 여성의 삶을 향상시키거나 악화시키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유럽 근대사에서 민족국가는 여성에게 법적인 권리를 거부하거나 민족공동체로부터 여성을 배제하는 것을 통해서 성차별적 속성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달리 말해서 선거권이 없는 여성들은 오로지 남성 시민과의 결혼을 통해서만 국민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제3세계 국가들에서 민족주의는 유럽에서보다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민족주의자들은 가부장제와 전승된 봉건적 관행 모두에 투쟁하여야 했다. 현존하는 사회 구조, 문화 그리고 종교 전통을 개혁하려는 노력 속에서 여성 해방을 위한 투쟁은 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투쟁과 통합되었다. 그러나 민족주의의 담론속에서 어머니로서의 여성은 찬미된 반면, 동시에 그녀들의 활동은 주변화되었다. 이런 이율배반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제3세계에서 페미니즘은 민족주의 운동과 협력하거나 연대하였는데, 이는 제국주의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근대화가 성차별 극복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민족주의 운동은 여성의 민족국가수립에 기여할 수 있었지만, 민족주의의 폐쇄성으로 인해, 가부장제는 해소되지 않았다.
민족주의에 대한 페미니즘의 관계는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이고 그리고 특수한역사적 맥락속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즘의 민족주의에 대한 이해는 제1세계 여성의 시각에서만 해석되었다. 또 페미니즘 제2의 불결 이후로 제1세계와 제3세계 페미니스트 사이의 대화는 결여되었고, 후자가 처한 사회적ㆍ경제적 맥락에 대한 전자의 이해는 일천하였다. 그런 점에서 페미니즘과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한 그간의 논쟁사를 반성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대다수의 제3세계 국가에서 여성은, 그들이 원하든 원치 않든 민족국가의 형성 과정에 참여했기 때문에, 어떠한 성찰적인 방식으로 민족주의를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적극적인 사고가 요청된다. 지구화의 거센 압력이 여성의 대다수를 주변 노동력으로 전락시키면서, 민족국가의 경계내에서 여성의 투쟁이 절실해졌다. 또 한국의 경우에는 분단이 여성의 삶을 더욱 황폐하게 만들고, 그래서 통일이 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여성은 민족주의가 배태한 가부장제를 적극 비판하면서도, 민족국가 형성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결국은 ‘민족주의냐, 아니냐’보다는, 어떤 민족주의인가가 중요해졌다.
Why do the feminists deliberated on nationalism which is b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movement? Why die feminists not distance themselves from nationalism, which merely reinforces patriarchal ideology and plactices? nationalism has, and due to its powerful impact on the masses even women are bound to be influenced by nationalism in certain ways. Also,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a 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lives of women.
But in the european modern history modern nation states demonstrated sexual discrimination by rejecting the legal rights of women, and excluding them national communities. In other words, women without voting rights could only belong to a nation through marriage with a male citizen.
In Third World countries, nationalism had a more positive meaning than Europe. Nationalists had to combat traditional feudal practices as well as the patriarchal system. In trying to reform the existing social structure, culture and religious traditions, the struggle for the liberation of women became integrated with that of building the nation state. But in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women as mothers were glorified, but at the same time, their activities became marginalized. In spite of the ambivalent relations mentioned above, feminism in the Third Wold had to cooperate or combine with the nationalist movement due to the fact that liberation from imperial rule and modernization was more important than overcoming sexual discrimination. Consequently the nationalist movements were able to markedly increase the living standards of women. However the patriarchal system was not completely eliminated, due to the closed nature of the nationalism.
The relation of feminism to nationalism is multiplex, multidimensional and historically specific. since women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of nation states and modernization throughout history whether or not they wanted, active thoughts concerning how to apply nationalism in a reflective way became necessary,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women are still suffering from the political divis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