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라파엘호 구조와 규모에 관한 고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17(3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라파엘호에 대해 구조와 규모(規模)를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재해석하였다.
‘라파엘호’는 조선 후기 서해에서 활동한 ‘어선’으로,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의 서한에 등장한다. 성 김대건 신부와 일행들이 타고 간 이 어선에 수호자의 의미를 담아 대천사 라파엘의 이름을 따 선명을 ‘라파엘호’로 명명한 선박이다.
본 연구의 방향은 첫째, 실체가 모호한 라파엘호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의 서한 내용에 나타난 구조를 알기 쉽게 분류하고, 그 당시 어선의 자료와 비교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둘째, 조선후기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지역에서 활동한 어선들과 1910~1921년대 일본인이 조사한 조선의 배, 조선 후기 사진 등의 자료를 객관적으로 검토하여 구조별로 분석하고, 라파엘호의 구조와 형태를 추정하였다. 셋째, 필자가 그간의 전통 선박을 건조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라파엘호의 크기·구조·형태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규모에 대해 재해석하였다.
그 결과 라파엘호의 구조는 조선 후기 서해에서 활동한 어선과 그 구조와 형태가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는 서한에서 라파엘호의 크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두 사람은 당시 조선시대에 통용되던 척(尺)의 단위가 아니라 프랑스 단위인 피트(feet)의 의존명사로 피에(pied)와 인치(inch) 명사인 푸스(pouces)로 설명하고 있어,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尺 단위와 다른 pied 단위로 크기를 재해석하였다. 그 결과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가 설명한 라파엘호의 크기는 길이에 비해 너비가 좁고, 너비에 비해 깊이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선박의 복원성이 부족하여 전복 위험이 큰 선형을 띠기 때문에 다블뤼 신부가 설명한 크기의 깊이를 8pied보다 5~6pied 정도로 적게 하여 복원성을 확보하고 어선으로서 특징을 갖출 수 있는 길이 9.75m, 너비 4.22m, 깊이 1.62~1.94m로 추정하였다.
I reviewed and reinterpreted the structure and scale of the ship ’Raphael’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ship ‘Raphael’ was a ‘fishing vessel’ which was operated in the West Sea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it is mentioned in a letter of Bishop Ferreol and Priest Daveluy. The ship, where Saint Andrew Kim Dae-Geon priest and his companions rod, was named after ‘Raphael’ which is an archangel meaning a guardian.
The direct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stated in a letter of Bishop Ferreol and Priest Daveluy was classified easily and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data on fishing vessels at that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Raphael, whose structure has been ambiguous so far. Second,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by reviewing data on fishing vessels that were in operation in Hwanghae Province, Gyeonggi Province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the late Joseon period, vessels of Joseon period surveyed by Japanese in the 1910~1921s and photos on vess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objectively an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hip ‘Raphael’ were estimated. Third, the author of the study re-interpreted the size of the ship by reviewing the size, structure and shape of ‘Raphael’ empirically based on his experience and knowhow on building traditional ships.
The study found that the structure and shape of ‘Raphael’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fishing vessels operated in the West Sea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addition, Bishop Ferreol and Priest Daveluy explained the size of the ship ‘Raphael’ in a letter. The two people explained the size of the ship not in Cheok (尺, a Korean unit of length), which was widely used in the Joseon period at that time, but in a French unit of measurement such as pied, a dependent noun form of feet and pouces, a noun form of inch. Therefore, the size was reinterpreted in pied unit, which is different from Cheok (尺, a Korean unit of length) unit that wa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ip ‘Raphael’ had narrow width compared with length and high depth compared with its width as stated by Bishop Ferreol and Priest Daveluy. In this case, this shape has high risk of overturning due to lack of restoring force of the ship. Accordingly restoring force was secured by reducing the depth of 8 pied as explained by Priest Daveluy to 5 to 6 pied and the size was estimated to be 9.75m long, 4.22m wide and 1.62~1.94m deep to have the size that can be characterized as a fishing vessel.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07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