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쿠데타의 위헌성 법리 = Doctrine of unconstitutionality of coup d'état - legal implications revealed on the jurisprudence of common law states concerning legality of coup d'eta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25쪽)
제공처
소장기관
쿠데타의 합법성 여부에 관한 영미법계 국가의 판례의 경향은 켈젠의 혁명의 합법성 원칙 또는 ‘실효성’의 법리와 민주주의를 강조한 ‘국민적 승인’의 법리의 대결로 파악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필요성의 법리가 부가될 수 있는데, 이는 다소 예외적으로 등장하거나 쿠데타 정부의 사후 조치들의 효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시기적으로는 실효성의 법리가 먼저 등장하여 쿠데타의 합법성을 인정하는 일반적 경향을 형성하였으나, 그 후 실효성의 구체적 의미에 관하여 보다 깊은 성찰이 이루어지고 민주주의에 대한 고려도 추구되어 판례이론상 국민적 승인의 법리가 점차 강조되어 결국 대세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법리는 여러 국가들의 판례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발전되었는데, 그레나다의 미첼(Mitchell) 판결에서 가장 완성된 형태로 정리되었다. 국민의 승인론은 어떠한 쿠데타이든 성공하기만 하면 법적 정통성은 자동적으로 따라온다는 실효성론의 정의롭지 못한 결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의 결과이며, 제3세계 국가들의 입헌주의의 방어에 기여하여왔다.
In the jurisprudence of common law states on the legality of coup d"état, cas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covers cases where the judges generally upheld the regime"s validity with the doctrine of revolutionary legality of Hans Kelsen. The second category includes cases where the judges are challenging the legality of usurper regime on the ground that the coup fails to obtain permanent recognition of people. The latter, so-called doctrine of popular acceptance, is dominant in recent cases. In addition, the courts sometimes adopt the principle of necessity for the purpose of legalizing acts taken by usurper regime after the coup.
The doctrine of popular acceptance is best expressed in the Mitchell case of Grenada, where the court summarized elements for the legality of the coup into four factors. These are a) the coup was successful, b) its rule was effective, c) popular acceptance, d) the regime was not oppressive and undemocratic.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