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말 중국 여성의식의 계몽 : 부전족운동(不纏足運動) = The Enlightenment for Feminine Awareness in China in Late Nineteenth Century : The Anti-foot Binding Movement
저자
이영란 (Professor, Department of China Modern History, Chosun University)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7-93(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20세기는 중국 여성의 권리가 신장되었던 시기로, 19세기 말 즉 청(淸) 말 중국에서도 여성들을 가정으로부터 사회로 이끌어내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여성들은 점차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전통의 굴레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향하고자 하는 갈망을 갖게 되었다.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명청(明淸) 시기에 여성들은 가부장적 사회 안에서 생활해야 했다. 전족(纏足)은 명대에 이르러 성행하였고, 청대는 전족이 최고 성행을 이룬 시기이다. 높은 신분에서부터 농민층에 이르기까지 전족의 풍습은 확산되었다. 고통을 감수하며 행한 전족으로 여성 자신은 주체적 인격이 상실되고, 남성 중심 사회의 관상 내지 성적 종속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전족에 대한 반대는 이미 북송말엽 차약수와 정이로부터 시작하였다. 개항 이 후 지식인층 사이에서 전족문제를 제기하였고, 선교사들은 전족의 비인간적 풍습을 규탄하였다. 전족을 하지 못하도록 실천적 운동으로 옮기기 시작한 것은 바로 태평천국시기이다. 태평천국 시기 광서지역 여성들 스스로가 여성들에게 전족을 풀 것을 권유하면서 중국 여성들에게 전족이라는 악습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단서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국민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여성 의식을 갖게 하기 위해 변법지식인은 계몽활동을 하였다. 여전히 남성들이 중심이 된 조직체를 운영하였지만, 전족을 한 여성들과 가족들에게 전족이라는 악습의 폐지로 여성이 국가의 한 일원인 국민으로서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결국 그들은 학회 및 보간(報刊)을 통해 여학을 강조하였고 여성을 위한 교육시설을 설립하여 중국 여성의식의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 국민국가를 이루고자 하였다.
더보기The twentieth 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rights of Chinese women were enhanc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here was a movement where women emerged out of their households and into the society. According to this movement, they had a desire to create a new world outside of traditional bridles in order to keep pace with changing time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en Confucianism dominated the society, women had to sta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amily which limited the social activities of women. Foot binding prevailed during the Ming Dynasty and in particular, the Qing Dynasty experienced the peak in this foot binding custom. It had spread much farther from the upper classes to farmers in rural areas. Through painful foot binding, the subjective personalities of women were lost and they were regarded as objects of enjoyment or sexual subordinates in a male-oriented society. Opposition to foot binding began in Jiruoshui and Chengyi of the late Northern Sung. After the opening of ports to western forces, the issue of foot binding was presented by the intellectuals, and missionaries condemned the inhumane custom. It was during the Taiping Tien-kwoh period that the opposition to foot binding was developed into a practical movement. Women in Guangxi during the Taiping Tien-kwoh were recommended to release themselves from foot-binding, which was a chance for Chinese women to reconsider the evil custom of foot binding. Intellectuals in the Reform Movement led enlightenment activities to inspire women to become subjective women as members of the nation. Organizations involved with the women’s movement in that period were still centered on men, through which women with bound feet and their families could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necessity for foot binding prohibition, and to become aware of themselves as members of their nation. Finally, women’s education was enhanced and welfare services were prepared through academies,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led to further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ocieties for women were established where the nation c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and then enhance feminine awarenes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