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제인권규약상 자결권의 의미에 관한 소고 = The Meaning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vena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1-656(4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one of the controversial concepts in international law. There is no doubt that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constitutes one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re are still unclear points about the meaning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at/in terms of what is the defini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who are the subject of that right, what is the content and the forms for realization of that right is. In particular, whe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claimed outside the context of colonialism, it increases its indeterminacy on its content and the scope for application.
As the two ma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venants, namely,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stipula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eir common Article 1,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confirms its importance 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effective guarantee and observance of other individual human rights. Since then, the importanc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and developed through various international documents. The question arises wh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emains as the most political and controversial norm in international law despite the right has been stated in various documents? What is the meaning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tipulat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on Human Righ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s stipulated in the common Article of the two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venants, and to understand the controversial points arou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vaux preparatoires and the Committee’s practices. Another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reason wh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as been intentionally broadly framed, while there is no way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ight to self-termination.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I) and the meaning and the scope of peoples as the subjec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II). It furthers to examine the content and the form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V); and the obligations upon the State party to respect and to promote its realization (V). In the conclusion, considering the points where the controversy arises, it discusses inherent limitations to provide the concrete defini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자결권은 국제법상 가장 복잡하고 불명확한 개념 중 하나이다. 오늘날 자결권 존중은 국제법 기본원칙이고, 국제인권의 핵심이다. 그러나 자결권이 무엇이고, 자결권의 주체인 인민은 누구이며, 자결권의 내용과 실현방식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많다. 특히 자결권이 식민주의 맥락을 넘어서 논의되는 경우 그 내용과 범위의 불확정성은 더 커진다. 자결권은 국가 성립의 근거가 되기도 하고 국가 분열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주권을 보호하기도 하지만 외부의 개입을 고무하기도 한다.
1966년 두 개의 국제인권규약이 인권조약 상 처음으로 자결권을 명시함에 따라 자결권은 기본적 인권의 지위를 확고히 하게 되었으며, 다른 개별적인 인권의 행사를 위해 필수적인 조건임이 확인되었다. 이후에도 자결권의 중요성은 여러 국제문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강조되며 발전하였다. 이처럼 여러 문서에서 확인된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자결권은 국제법상 가장 정치적이고 논란이 많은 규범이다. 그렇다면 국제인권규약에서 자결권은 어떻게 명문화되었고 그 의미는 무엇일까? 이 글은 1950년대 인권규약 성안 과정과 이후 규약위원회의 논의를 중심으로 두 규약 제1조에 명시된 자결권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자결권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의 또 다른 목적은 자결권이 인권규약에서도 의도적으로, 추상적으로 규정되었을 뿐 아니라 해당 법리를 발전시키고 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이후의 방법 또한 없다는 것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결권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자결권의 성격, 자결권의 주체, 자결권의 내용, 자결권에 대한 의무를 둘러싼 쟁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결론에서는 쟁점이 발생하는 영역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자결권에 내재한 논의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6-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Law Review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2 | 1.42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5 | 1.166 | 0.8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