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 중고기 公服制와 服色尊卑 = Official Attire System and Rank Distinction with the Color in the Middle Ancient Sill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93(43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신라의 법흥왕은 520년 율령을 반포하고, 백관의 공복과 朱紫의 秩을 제정하였다. 520년 공복은 당시 衣服令의 하나로 제정되었고, 6代 130년 간 신라 중앙관인의 공복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문헌에는 의・관・홀 등만 전해 전모를 알기 어렵다. 본고는 이를 해명하고자 작성하였다.
분별의 구현수단인 色衣에 주목해 북위~수・당의 사례를 정리한 결과, 신라 중고기 공복은 관인의 일상 업무용 관복인 常服이었다. 常服은 착용자의 편의와 행정의 효율성을 전제한 관복으로, 상의 겉옷 색에 분별을 집중시키고 품목을 단출하게 만든 관복이었다.
신라 중고기 공복은 머리의 관과 관끈・상체의 色衣・손의 홀・허리의 혁대・하체의 바지・발의 버선과 검정색 목 긴 신발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신라의 관 둘레는 머리 둘레보다 작아 중국의 관과 차이가 있었고, 관과 관끈이 불가분의 관계를 가졌다.
공복의 품목으로 ‘法興王制’를 다시 분석한 결과, 520년 법흥왕제는 色服志의 衣・冠으로 나누어 편집되었고, 기록품목은 분별품목으로 사료된다. 의・관의 설명순서는 착장순서이며, 윗옷과 쓰개의 종류를 막론하고 규정된 분별을 지키라는 포괄적 규정이었다.
분별 품목은 홀・色衣・色冠이었다. 홀은 재질을 달리해 干群과 非干群을 구별하였다. 색의는 紫・緋・靑・黃이란 전통적 색채 위계로 구성되고, 관인을 4그룹으로 구별했다. 색관은 錦冠의 재해석으로 얻은 결론이다. 錦冠은 무늬와 2가지 색 이상을 가진 관이며, 삼국의 색채위계와 상고기 말 신라의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자색을 바탕색으로 다른 색이 섞인 관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미상이었던 이벌찬의 관도 색관을 고려할 수 있었으며, 朱紫之秩을 통해 주색관으로 추정하였다. 색관은 색의로 나눈 관인을 세분하는 기능을 가졌다. 또 色冠이란 품목은 전통성이 강하나, 朱・紫・緋란 중국식 색채 위계를 일부 수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중고기 신라의 공복은 8품목 중 色衣・色冠・笏의 3품목으로 관인을 구별하였고, 중요한 분별수단은 의・관의 색이었다. 의・관을 통칭하는 개념이 服이므로, 색복이라는 소항목의 명칭과 복색존비란 표현도 이해할 수 있었다. 나아가 고유한 색의 위계를 쓴 의제와 일부 외래적인 색의 위계를 수용한 관제를 융합한 것이므로, 중고기 신라의 국정방향이나 중국문물의 수용자세를 드러낸다고 파악하였다.
King Beopheung of Silla promulgated law to regulate the attir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color order. Previously, the color classification reserved especially purple for nobles, dark red for bureaucrats and as soon as King Beopheung set this format as a law code, the next six consecutive kings applied the same apparel order for the 130 years. However, the history only writes colored ui(outer clothing, uniform), gwan(head accessory), hol(scepter), which make it difficult to imagine how the bureaucrats actually looked like. This article is to analyze 81 words in the 三國史記(Samguk Sagi) with other historical documents, in so doing tries to solve this historical conundrum related to the real aspect and administrative dimension of dress code for government officials in 6th century.
The dress code in ancient east asia was to dictate the social ranks of its people. Not only Three kingdoms and Silla exercised this code to manage the state but also did Chinese. The historical manner to regulate to color and attire was largely searched from 北魏(Bei wei) to 唐(Tang) dynasty, which were the neighboring countries that ruled China in silla period. By so doing, with regard to color code, the specific bylaw, which states who and how to use, e.g., scepter, was revealed.
What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was mainly everyday uniform that showed the color on the outside and simplified other accessories to make more vacancy inside to reserve comfortability. A complete set was composed of gwan, tassel, colored ui, hol(scepter), leather belt, pants, Korean traditional sacks and black boots with thick soles. More importan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head accessories(gwan) of korea and china; the head size of Silla people was smaller than that of chinese, and because of this, a chin strap to fasten gwan was inevitable for koreans.
Furthermore, traditional color usage in the korean peninsula was respected: 紫(purple)・緋(Bi, Dull red)・靑(Cheong, Blue)・黃(Hwang, Yellow). Each color was used for specific rank in the society. Government officials were classified by four groups and each were designated to use particular colors. In the article, purple color was investigated to the last degree. Moreover, there existed a miniscule bylaws that regulated small accessories.
Focusing on the colored cloth, distinguishing material, this article was to solve this historical conundrum for color attire used to exercise and maintain the hierarchy in the state. After having sorted out all the cases in chinese korean historical documents, it is now revealed that clothes that the law regulated are divided into two parts: ui and gwan and there existed strong cultural hierarchy to use specific colors for the cloth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