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 전략의 문제점 - 독일 사례가 한국에 주는 함의
저자
최승호 (충북개발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독사회과학논총(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100(32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이 글은 한국에서 국가적인 녹색성장의 화두 하에 재생가능 에너지 육성과 그에 따른 고용 창출 전략의 문제점을 파악해 볼 목적으로 이 분야 선험국 독일 사례가 한국에 주는 함의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우선 지속가능한 노동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정의해 보았다. 그 다음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의 일자리 창출 효과, 인력양성과 고용구조 등을 기술하고 분석한다. 더불어 미비점도 지적한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에서의 녹색성장 전략과 인식의 문제점, 재생가능에너지 육성과 고용창출 계획의 허와 실을 지적한다. 더불어 지역의 에너지자립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한 노동이란 화석연료나 핵연료 소비에 의한 기술집약적인 고밀도 에너지 생산과 그에 따른 고엔트로피의 증대가 아닌 자연의 재생산력을 지 지하는 생물연료 소비적인 노동집약적 형태의 노동을 말한다. 이러한 노동의 유형은 저엔트로피를 양산하며 고용창출력도 크다.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의 선험국 독일의 경우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고용과 관련해서 순고용 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투자, 기술개발, 시장 확대, 정부의 법제도적인 지원 등의 영향 관계에 의해 상당한 고용창출 잠재력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독일에서도 인력 양성에 있어서는 수요 증대에 상응하는 전문 인력의 부족, 직업교육의 미흡, 분과 직업의 전문성 측정의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지역차원에서 녹색산업의 육성은 생태도시 프라이부르크와 같이 NGO 단체가 주축이 되어 민관협력에 의한 지역에너지 자립지역으로 성장하고 있는 곳이 많다는 점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하여 현재 한국에서 중앙 및 도의 녹색성장위원회 산하에 에너지 자립을 위한 주민위원회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이 위원회 하에서 지역민의 자율적, 적극적 참여가 보장되면서 주민들에 의한 지역에너지원의 발굴, 환경교육, 의식, 에너지 절약과 실천이 자연스럽게 배양되어 궁극적으로 생태적 사회문화로 발전할 수 있는 길을 열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article describes a coordinating strategy for promoting renewable energy and job making. First it defines what a sustainable job is. Then, following the German example of subscribing to a national energy policy, the effect of job making, job training, and its employment structure is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the article points out the absence of the labor statistics in the renewable energy area as well as a shortage of professional workers and job training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The next section deals with the national energy supply policy, the promotional plan for renewable energy, and the job-making plan by the Korean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stressed about how important it is to establish a governance system in order to arrive at regional energy self-relianc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at present,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self-reliance in energy security, and overcoming energy poverty should be preferred than the investment in technology development, export of produced goods, profit enlargement, improvement of enterprise competitiveness, and job making in the national industrial viewpoint. In addition, the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should be accomplished by big companies and government, but by the policy-making organization in each region, guaranteeing the citizens autonomy participation. This strategy may be the emerging way to ecological social culture by private and public cooper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7 | 0.855 | 0.2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