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발전기술별 에너지 안보지수 종합 평가 = A Comparison of Energy Indicators by Domestic Electric Technology
저자
문기환(Kee-hwan Moon) ; 김승수(Seung-su Kim) ; 정환삼(Whan-sam Chung)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95-612(18쪽)
제공처
본 연구는 전력공급 즉 발전부문에 대한 에너지안보지수를 에너지공급사슬과 지속가능발전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의 전력수급계획시에 발전기술별 유용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관련 기초자료를 생산하고자 함.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국내 주요 발전기술별 에너지 안보 지수를 평가하기 위해 먼저 지속가능발전과 에너지공급사슬 측면에서 핵심가치와 속성을 설정하였고, 발전기술별 에너지안보 평가를 위해 3개 차원, 9개 속성, 18개 속성지표로 에너지안보지수 평가프레임을 구축함. 둘째, 국내 발전기술별 에너지안보 지수를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각각 평가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평가도 수행함. 또한 전원 구성 전망 시나리오별 에너지안보 지수를 비교·분석함. 분석 결과, 원자력은 에너지안보 종합 지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풍력, 태양광, LNG, 석탄 순으로 나타났음. 또한 현 정부의 환경친화적인 발전믹스 정책을 반영하여 2016년 실적(안), 7차전력수급계획(안), 탈 원전&석탄(안) 등 3개의 발전기술 구성 대안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에너지안보 지수를 평가한 결과, 원자력의 비중이 높을수록 에너지안보 지수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더보기A selection of electric technology options is sensible to make in the framework of energy trilemma, which is defined as balancing the trade-offs between major energy goals, namely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energy security by domestic electric technology.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To concrete evaluation framework, this study has derived the concept and core values regarding energy security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ergy supply chain. And the evaluation framework of domestic energy security is constructed based on derived the concept and core values. It has 3 dimensions(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 total of 9 attributes for each dimension 3 attributes, and a total of 18 sub-attributes for each attribute 2 sub-attributes. ②Energy security indices by domestic electric technology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to compare the energy security indices by electric technology mix, 3 scenarios a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osite indices on energy security includ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nuclear is the best electric technology option in terms of the sustainability, wind is the 2<SUP>nd</SUP> best option, and coal is the worst electric technology option. As a result, in Korea, the higher ratio of nuclear technology, the more contribution of energy security indic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