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onhyo's Peace Though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95(47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This paper aims to analyse Wonhyo's peace thought.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searches for his life, writing and writings, his peace thought and its realization methods, today's meanings of his peace thought, etc.
The age of Wonhyo(617-686) was that of constant severe conflicts and wars among three Kingdoms, and the political unification of them by Shilla. War and death were was every where everyday life. After the political unification, It was necessary to build the systematization of state administration and ‘the philosophy of integration’, the ideal for peoples who had fighted for a long time. Buddism is a religion of compassion which thinks much of harmony and peace. He wrote Sibmun Hwajaengron(十門和諍論), the Reconsiliation of Ten Disciplines. To Wonhyo,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To him,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The thought of Wonhyo based on reconciliation of disputes can show us guideline for solving world peace problem and Korean Unification. The core of Wonhyo's thought is said to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s and the Huayn(Avatansaka Sutra) thought. Obstacle to peace in each person is the mind defined by ignorance. Ignorance means one could not understand that all things could not exist by themselves, but are codependent and correlated and that they are not permanent. Wonhyo thinks obstacles to the real and ultimate pesce and the false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ego-soul and thinks-in-themselves. The abolition of the false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ego-soul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perfection of one's personality by the practice of six paramitas. The ways to build up the real peace mean the transformation from the society of desire to the society of aspiration, because aspiration includes benefiting others as well as benefiting oneself. In order to build up the real peaceful world, as Wonhyo put it, we should go to the world of altruistic aspiration(communitarism) through the middle way from the world of ego-centrism desire.
이 글은 우리 역사상 가장 많은 불교저술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후대의 사람들에 그의 사상 특히 일심-화쟁-무애의 사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있어서도 많은 존경을 받고 있는 승려인 원효대사의 평화사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효의 일생과 주요저서 및 사상, 원효의 평화사상과 실현논리, 원효의 평화사상의 현대적 의미의 순서로 고찰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원효의 화쟁과 원융회통의 사상은 원효가 살았던 신라말기와 통일신라 초기뿐만 아니라 그 후 한국불교와 한국정신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질로 정착되었음은 물론 중국과 일본, 그리고 멀리 천축국(인도)에까지, 동아시아 전체에 통하는 보편사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화쟁에 바탕을 두고 있는 원효의 사상은 우리에게 세계평화와 관련된 주요문제들을 풀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오늘날 남북한 분단체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된 평화세계의 건설은 인아집과 법아집을 타파하고 6바라밀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인아집의 타파는 정법(正法)에 의한 훈습을 통하여 자아의 주체성과 실재성에 대한 집착을 제거하여야 한다. 법아집의 타파는 예컨대 맹목적 신앙, 배타적 국가주의, 극단적 평등주의 등과 같은 삿된 집착의 대치(對治)를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모순과 대립은 무명(無明)과 불각(不覺)에 의해 발생하므로 무명의 성질과 그 퇴치방법을 이해시켜 깨달음(覺)으로 나아가게 될 때 조화와 통일, 상생(相生)과 평화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화쟁(和諍)과 일심(一心)과 원융(圓融)을 강조하는 원효의 평화사상이 공업사상(共業思想)으로 널리 받아들여 질 때, 다 같이 잘 사는 원생의 공동체의 실현, 진정한 의미의 세계평화의 실현을 우리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평화세계의 건설은 욕망사회에서 소망사회 즉 범부의 수동적인 업생(業生)이 아니라 보살의 능동적인 원생(願生)이 충만한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적 욕심(欲心)을 버리고 남도 생각하는 이타적 원심(願心)을 가진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들의 공동서원에 의해 평화실현이 점점 더 많이 구현되는 것임을 원효는 우리에게 잘 가르쳐주고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