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하 도시지역정치의 구도와 양상 -1920년대 京城 市區改修 이관과 수익세 제정 논란의 사례 분석-
저자
염복규 (국사편찬위원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108(36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일제하 도시지역정치의 구도와 양상 -1920년대 京城 市區改修 이관과 수익세 제정 논란의 사례 분석- 염복규 이 글은 식민지 도시지역정치의 한 사례로서 1920년대 경성시구개수의 이관과 수익세 제정 논란을 검토한 것이다. 원래 시구개수는 1910년대 총독부의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그런데 1920년대 들어 사업의 진척이 부진하자 경성부가 시구개수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했다. 그리고 그를 위한 유력한 재원으로 수익세 제정이 논의되었다. 그런데 수익세라는 거액의 준조세를 새롭게 제정하는 문제는 총독부, 경성부, 재경성 일본인 유력자, 조선인 친일유력자 등 여러 주체 간의 다면적인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수익세 징수가 민족별 손익이 분명한 사안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지방제도 개정으로 도시에서 지역 개발 현안에 대한 여론이 조성되는 장이 일정하게 열린 ‘1920년대 문화통치’의 조건에서 이전과 달리 표면화되었다. 경성부와 재경성 일본인 유력자들은 수익세 제정에 적극적이었다. 그에 반해 조선인 친일유력자들은 수익세 제정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이에 대한 조선인의 반대 여론이 높았기 때문이다. 조선인 친일유력자들은 물론 식민지권력의 협력자였다. 하지만 그들의 지역정치 활동의 기반은 조선인의 여론이었다. 또한 재정적 부담이 큰 경성의 도시 개발 사업에 부정적이었던 총독부 수뇌부도 수익세 제정에 반대했다. 이 점도 조선인 친일유력자들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대립 과정에서 경성부는 시구개수의 이관을 성공시키기 위해 시구개수의 규모와 수익세의 적용 범위를 재고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경성부라는 지역 단위 식민지권력의 구상이 총독부라는 더 상위의 권력, 그리고 지역의 일본인ㆍ조선인 유력자들의 정치적 기동과 부딪치면서 조정되어 나가는 ‘지역정치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복합적 과정을 거쳐 도달한 ‘합의’는 총독부의 기준에 의해 간단하게 무효화되었다. 이 점은 식민지 지역정치의 근원적 한계를 지시해 준다.
The Composition and Aspect of the Urban Polit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st Rule -the analysis an example, the argument on transfer of control of the Kyu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taxation on its beneficiaries in 1920’s- Yum, Bok-kyu This article analyses the argument on transfer of control of the Kyu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taxation on its beneficiaries, as an example of colonial urban politics. As the project of enhancement of the colonial capital, initi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the 1910’s, was delayed in the 1920’s, some argued that the project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Kyungseong City Government, with funds financed by taxing the beneficiaries from the project. However, establishing a new quasi-tax, which would collect a large sums of money, provoked multi-pronged disputes among the Government General, Kyungseong City Government, influential figures of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of pro-Japanese inclination, for the new tax would cause a clear loss and gain for different national groups. The dispute was able to surface due to the so-called “Cultural Government” of the 1920’s, when public opinions on issues of developing regions could be exchanged more openly through the revision of the regional systems. The colonial capital government and Japanese colonial leaders in Kyungseong community welcomed the new taxation, while Korean pro-colonialist men of influence vehemently opposed it, voicing fellow Korean people’s interest. They, of course, were partners of colonial government in general, but couldn’t afford to ignore their compatriots’ opinion, which formed the basis for their local political activities. One of the factors was that the Government General also had a negative view on it, apprehending financial burden the city development projects would incur. Among the disputes, the Kyungseong City Government revised the scale of the project and the scope of assessment of tax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take up the control of it. The process can be viewed as an example of local politics, where opinions of local leaders of Japanese and Korean communities collided and attempted to find an agreement. However, the “agreement” met through the complex process involving a number of interested parties was simply nullified by the standard set by the Government General, which showed an ultimate limitation in colonial urban politic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1.61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