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독어학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5년간 발표된 독어학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 Analyse der Forschungstendenzen in der germanistischen Linguistik in Korea anhand der sprachlichen Netzwerkanalyse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언어문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6(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한국독어학회가 창립되어 학술지 독어학 제1집이 출간된 1999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독어학 관련 6개 학술지에 실린 2,329편의 독어학 관련 논문들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1,968편의 독문요약에서 추출한 명사를 중심으로 실행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이다. 분석 결과 최근 25년 동안 한국독어학 연구는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성과와 발전을 이루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응용 분야와 언어구조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의사소통적 행위와 대조적 측면의 연구도 적지 않았다. 연간 게재 논문 수는 학계 연구자 수가 감소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연구 분야는 점차로 세분되고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독어학 연구가 언어구조에 대한 순수 이론 분야를 넘어서 텍스트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인지언어학, 코퍼스언어학 등의 응용 분야로 확장되어 인접 학문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역동적인 학문 분과로 발전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독어학 연구가 어떠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5년 주기별로 통시적 분석을 시행했을 때 주기별로 주목받은 핵심 키워드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LGL 대분류에서 언어구조, 의사소통 행위, 대조적 측면, 응용 분야 네 개 영역에서 중심성 지표가 높은 핵심 키워드를 살펴보았고, 중분류에서는 어휘의미론, 통사론, 텍스트언어학, 코퍼스언어학을 비교하여 각 영역에서 전형적인 키워드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Diese Arbeit untersucht die qualitative und quantitative Entwicklung der germanistischen Linguistik in Korea in den letzten 25 Jahren und die Schlüsselwörter, mit denen sie sich im Hinblick auf die sprachliche Netzwerkanalyse der deutschen Zusammenfassungen auszeichnet. Im Rahmen dieser Studie wurden insgesamt 2.329 Aufsätze aus sechs verschiedenen koreanischen Zeitschriften gesammelt, die sich mit Germanistik befassen. Durch die diachronische Analyse wurde festgestellt, dass die germanistische Linguistik in Korea sowohl quantitativ als auch qualitativ große Fortschritte gemacht hat. Ihre Forschungsthemen wurden kontinuierlich vertieft und erweitert. Statistisch gesehen dominierten die Untersuchungen zu Anwendungsbereichen und Sprachstrukturen, was 66.25% entsprach. Danach folgten die Untersuchungen in Bereichen des kommunikativen Handelns und der kontrastiven Aspekte, die sich auf 20% beliefen. In der Anfangsphase beschäftigte man sich häufig mit den Themen der Sprachstrukturen, aber in den letzten Jahren konzentrierte man sich mehr auf die Anwendungsbereiche. Aus 1.968 deutschen Zusammenfassungen wurde zuerst die Kookurrenz zwischen Schlüsselwörtern statistisch gemessen. Mithilfe einer sprachlichen Netzwerkanalyse wurden die Schlüsselwörter herausgefiltert und nach ihrer Zentralität im Netzwerk aufgeliste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