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통합과학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Reflection Order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and Students’Perception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77(15쪽)
KCI 피인용횟수
9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was to perform for an offer suggestive point for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cultivate effective science core competencies through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perception and reflection order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that are published according to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For those, we analyzed the reflection order of each textbook and unit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that are showed in five different textbooks, and analyzed educational need to confirm the priority order for educa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through to the investigation of perception level for 200 first year student in high school. As a result, there wa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science core competency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is 215.6, and there was many different to each textbook from 361 of the most number to 116 of the fewest. However, there was composed to cultivate core competency almost equally in total unit of textbooks. The reflection order of core competency that are showed in total five textbooks was ‘thinking>inquiry>communication>problem>participation’, and there was thinking ability(30.8%), inquiry ability(24.1%), communication ability (23.0%). These three core competency almost account for as the total 77.9%. The survey findings of students’perception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was average 3.19, as a middle level, and a male stud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 girl student especially, thinking ability, and participation and lifelong study ability. The educational need order for science core competencies was‘thinking>inquiry>problem>communication> participation’. This resul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extbook analysis. That is, there wa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23.0%) was very much higher than the problem solving ability(13.6%) in textbook analysis, but on the contrary the cultivation education to problem solving ability(1.26) was more need than that of communication ability(1.09) in the educational need analysis. We think that it is related to difference betwee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ing affective domain and, teacher and student familiar with the previous science curriculum focusing cognitive domain. Therefore, We think tha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gnition of teacher and student taking a serious view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cultivate core competency in affective domain like communication ability, and participation and lifelong study ability to faithfully attain the goal of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더보기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의 반영 순위와 고등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종의 통합과학 교과서 전체 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을 교과서 및 단원별로 분석하여 그 반영 순위를 알아보았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교육요구도 순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통합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은 평균 215.6개였으며, 가장 많은 것은 361개, 가장 적은 것은 116개로 교과서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단원별로는 4개 단원에 비교적 고르게 제시하고 있어 모든 단원에서 균형 있게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종 교과서 전체에 제시된 핵심역량의 반영 순위는‘사고>탐구>의사>문제>참여’이었으며, 사고력(30.8%), 탐구능력(24.1%), 의사소통능력(23.0%) 등의 3요소의 반영 비율이 총 77.9%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이 3.19로 중간 정도의 인식 수준을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한 차이(특히, 사고력과 참여 및 평생학습능력)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요구도 순위를 분석한 결과,‘사고>탐구>문제>의사>참여’순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23.0%)이 문제해결력(13.7%)보다 훨씬 더 높은 교과서의 반영 비율과 다르게 의사소통능력(1.09)보다 문제해결력(1.26) 함양 교육을 더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인지적 영역을 중시한 이전 과학과 교육과정에 익숙한 교사 및 학생과 정의적 영역을 중시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목표를 충실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사소통능력과 참여 및 평생학습능력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교수학습 활동을 중시하는 교사와 학생의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신규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28 | 0.649 | 0.0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