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문장 부호 교육 방안 연구 -대학생의 문장 부호 사용과 인식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unctuation marks Education in college composition -Centering on investigation of punctuation marks use and awareness of Undergraduates-
저자
신호철 (경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81-314(34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This paper was conducted on 120 undergraduates, 30 students on each grade, about how the 12 punctuation marks are used and is also to establish the fundamentals of present punctuation marks regulation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result.
The survey was to correctly use 12 present punctuation marks, such as period, comma, citation, ieum-pyo, andreonaem-pyo.
By and large, the average score was 38.5% and it revealed their understanding of correct usage is pretty low. This average score is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s that.
In case of periods, a lot of them did not mark after jurim-pyo, it seems that they misunderstood that jurim-pyo functions the end of a sentence.
In case of exclamation point, it is hard to distinguish between exclamation point and comma because its function is similar to comma and differs in the degree of admiration.
Comma, one of pause marks,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unctuation marks, compared to its frequency, its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was only 32.7%. This is because of the 15 functions of comma, they got confused exclamation point, colon, middle point, jul-pyo with comma.
In case of quotation marks, especially small quotation mark, its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was only 7.9%. This is the lowest average score in 12 present punctuation marks.
본고에서는 국어 문장 부호 중 12개 문장 부호를 선별하여 대학생 1, 2, 3, 4학년 각 40명씩 총 160명 학생을 대상으로 문장 부호의 사용과 인식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조사 결과를 정리ㆍ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얻을 수 있었던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근거로 대학 글쓰기에서 문장 부호 교육의 필요성과 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생들의 문장 부호 사용에 대한 평균 정답률은 38.5%로 중ㆍ고등학생들의 문장 부호 사용 평균 정답률 27.5%보다 11.0% 정도 높게 나타났지만, 대학생으로서 만족할 만한 정답률은 아니다. 이를 보아 대학생들의 문장 부호에 대한 용법 이해 수준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온점의 경우는 줄임표 다음에 온점을 찍지 않는 경우가 다수 나타났는데, 이 점만 주의한다면 온점 사용에 있어서 큰 무리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물음표의 경우 평균 정답률 43.3%로 전체 5순위를 차지했다. 느낌표의 경우는 평균 정답률이 14.2%로 매우 낮았는데, 느낌표의 기능이 반점의 기능과 유사하고, 또한 감탄하는 정도의 차이로 이 둘을 구분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반점은 글 속에서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문장 부호인데 비해 학생들의 정답률은 32.7%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접속문 내의 절과 절 사이에 반점을 표시할 때, ‘-ㄴ데’ 다음에 반점을 찍는 것은 정답률이 높았지만 다른 연결 어미 다음에 반점을 표시하는 것은 정답률이 매우 낮았다. 이러한 통계 조사를 통해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오용하고 있는 반점에 대하여 교육의 초점을 둘 수 있는 사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옴표의 경우 작은따옴표는 평균 정답률이 7.9%로 매우 낮았다. 본 설문 결과 작은따옴표의 혼동은 문맥 속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줄표는 조사 대상 12개 문장 부호 중 평균 정답률이 가장 낮았는데(2.5%), 그 이유는 줄표의 출현 빈도나 사용 빈도가 낮고, 반점과 용법이 유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숨김표(××, ○○)의 경우 교정 부호인 ‘삭제표’나 ‘지움표’ 등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교정 부호와 문장 부호 교육의 필요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줄임표의 경우 55.8%의 평균 정답률을 보이고 있는데, 학생들이 점 6개보다는 점 3개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장 부호의 난이도를 조사하였는데, 인식하고 있는 문장 부호의 난이도와 실제 사용에 있어서의 정답률은 온점이나 반점 등을 제외하면 대체로 상호 관련성이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답률이 높은 것은 쉽고, 정답률이 낮은 것은 어려워하는 것으로 인식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실제 결과는 정답률보다는 문장 부호의 사용에 있어서의 실용성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3 | 0.96 | 1.437 | 0.4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