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로마 법학탄생에 대한 희랍 학문개념의 영향 - 법학과 신의성실 원칙의 탄생 - = Die Beeinflussung des griechischen Wissensbegriffs auf die Entstehung der romischen Rechtswissenschaf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28(38쪽)
제공처
이 논문에서는 우선 희랍 학계에서 확립된 학문 개념이 무엇인지 살펴 본 후, 그 것이 일정한 원리에 의하여 조직된 지식의 논리적·방법적 통일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그 학문 개념이 로마 법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즉 로마의 법학도 학문이라 할 수 있는지를 제한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런데 법학에서 학문 개념은 선행하는 ‘의제’ 후에 연역적 삼단논법을 전제한다. 법학은 베버의 용어법에 따르면 여실한 형식 과학이고 형식 과학으로서의 법학은 로마법 이래 인정되고 있다. 연역적 논법은 定義, 공준, 공리 등으로써 주장을 증명하고 근거를 제시한다. 게다가 로마법 이래 법학은 또 類와 種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법학의 학문성은 부정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로마에서 최초로 이러한 학문 개념에 부합하게 활동을 한 사람이 세르비우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어서 과연 로마에서 학문이라 할 수 있을 정도인 법학이 실재하였는지를 학설휘찬 내의 세르비우스가 저술한 몇몇 개소를 예시로 하여 귀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결과 세르비우스의 개소들에서 학문성을 감지할 수 있는 본질적 특성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세르비우스의 新법학은 회의주의적 아카데미아의 영향 하에 있었으나 불가지론 보다는 법실증주의까지 포용하는 회의주의로서의 상대주의를 주장하였다. 그 상대주의는 개연성을 기초로 실정 법규범을명료하게 만들도록 촉구하며 구성원의 합의와 그 합의를 강제할 권력을 전제한다.
그런데, 세르비우스 전 로마 법학은 희랍적 규준에 비추어 학문이 아니었다. 그러한 (원시적) 상태의 법에서 중요했던 원리들은 개념법학적 신법학 도래 후에는 제도적으로 인정받는 권리들을 일거에 상실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제도적으로 인정받는 권리도 상실시킬 수도 있는 신의성실 원칙으로 역할하게 된다.
Es ist wissenschaftlich weitgehend anerkannt, dass dem ganzen philosophischen bzw. wissenschaftlichen Denken und Schaffen Europas liegen zugrunde die Denkleistungen, die in beweisbarer Weise vor uber zweieinhalb Tausend Jahren in Griechenland gebluht haben.
In dieser Arbeit wurde zuerst versucht zu erklaren, wie der Wissenschaftsbegriff im westlichen - insbesondere griechischen - Altertum war und damit wie er nachher auf die romische Rechtswissenschaft beeinflusst hat. Denn die Erkenntnis der griechischen Wissenschaft geht von dem zeitgenossischen Wissenskonzept aus und gilt auch bis in die Moderne hinein als unumstoßliche Grundlage.
Wahrend die unterschiedlichsten Wissenschaften ihre eigenen Entwicklungen verschidentlich aufgewiesen haben, hat zumal die Naturwissenschaft sozusagen als ein Modell gegolten. Indessen ist die Rechts-‘wissenschaft’ trotz ihrer Bezeichnung haufig ubersehen worden.
Diese Arbeit hat mittels einiger Stellen in den Digesten versucht zu zeigen, dass die Rechtswissenschaft oder Jurisprudenz, wie das Fach auch bezeichnet werden mag, sei jedoch eine Wissenschaft par excellence und daher das griechische Verstandnis uber Wissen und Wissenschaft der Gestaltung des romischen intellektuellen Kreises - freilich Rechtswissenschaft eingeschlossen - einflussreichste Impulse geben konnte.
Gegen den gemeinen Meinungen wurde es somit behauptet, dass die Rechtswissenschaft als ein der Mathematik ahnlichstes Forschungsfach im Vergleich zu den anderen Wissenschaften noch wissenschaftlicher sei, weil sich die Rechtswissenschaft als ihre unentbehrliche Mittel der Begriffe einerseits wie z.B. Definition, Axiom, Deduktion sowie Beweis und andererseits wie eidos(morphe), genos sowie diaphora bedient und den logischen Demonstrationsprozess auch in der Rechtsinterpretation aufweist. Demzufolge ware die Verdrangung guten Glaubens (bona fides) vom Vordergrund durch die systemgebundenen Regeln und damit dessen Bewertung als die Begrenztheit der Rechtserkenntnis in der gedanklich nicht voll entwickelten Zeit das wesentliche Merkmal der Moderne im Bereich der Rechtspflege und -wissenschaft, die in Rom bereits zu Ciceros Zeit von seinem engen Freund Servius definitiv verwirklicht wurd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