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ECD 2030 미래교육에 따른 메타역량 기반 읽기수업전략 = Eine Studie über metakompetenzbasierte Lesestrategien auf Grundlage des Projekts OECD Future Education 2030
저자
박현선 (한국교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5-89(25쪽)
제공처
미래사회에 필요한 언어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상은 외(2018)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 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에 담긴 교육 방향과 과제를 먼저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지금의 역량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좀 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미래교육 비전은 무엇인가, 현재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등에 대한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래교육 프로젝트에서는 학생들에게 어떤 역량을 요구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추구하는 우리나라 미래교육의 기본 교육역량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미래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의 언어 및 외국어 교육이 추구해 나가야 할 교육 방향을 재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주체에 따른 메타인식과 미래의 변혁적 역량인 문해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습자가 읽기의 힘을 기를 수 있는 메타역량 기반 독일어 읽기 수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Ziel dieser Studie ist es, eine neue Methode für den Deutschunterricht vorzuschlagen, die die Kernkompetenzen des Projekts „OECD Future Education 2030‟ berücksichtigt. Im Projekts OECD Future Education 2030 wurden zwei Schlüsselbegriffe, „student agency‟ und „transformative Kompetenzen‟, als Kompetenzen identifiziert, die im 21. Jahrhundert relevant sind.
Der Sprachunterricht der Zukunft muss verändert werden, um die Handlungskompetenz und die transformativen Kompetenzen der Schüler zu fördern. Die Gesellschaften der Zukunft werden in ihren Fähigkeiten, Informationen zu verknüpfen, auszuwählen, zu analysieren und anzuwenden, sehr viel komplexer sein, und die Medien werden durch digitale Technologien erheblich aufgewertet. Um sich darauf vorzubereiten, wird die Lesekompetenz zu einer sehr wichtigen Fertigkeit im Sprachunterricht. Lesestrategien müssen daher über das reine Verstehen hinausgehen: Sie müssen nicht nur verstanden, sondern auch angewendet werden. Dieser Prozess muss schülerzentrierte metakognitive Kompetenzen einbeziehen.
In dieser Studie wird ein Unterrichtsplan vorgeschlagen, der die Metakognition der Schüler in den Leseunterricht integriert, um den Sprachunterricht vom rezeptiven Lernen auf das Verstehen und Anwenden zu erweitern. Dies wird die Lerneffizienz der Lernenden verbessern und ihre Lesekompetenz stärke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