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언어·문학 영재성과 국어 능력 = Giftedness and Talent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4.05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3-231(19쪽)
KCI 피인용횟수
1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s of giftedness and talent, relating them to the competence and thinking skill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 was a turning point of researching giftedness and talent in Korea after the legislation of the laws of giftedness in 2000. Unfortunately, we can only find just a few research papers and results regarding giftedness in Korean Education so far.
F. GagnéG(2004) differentiated giftedness from talent, defining them respectively as natural abilities and developed abilities(or skills) and knowledge in at least one ability domain, to a degree that places an individual at least in the top 10% of his or her age group. The viewpoint of F. Gagnécontribu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xtending those ranges which were limited to just 1%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Renzulli extended the range to almost the upper 50% by defining giftedness as “above the ability.”
Even though Gagnéand Renzulli had fine ideas and suggested differentiated models regarding giftedness and talent, those are general models. So their models have limitations when we try to apply them to the area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fore, I suggested specific elements of giftedness in the language-literature area,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such as “abilities of processing linguistic code and text, creative language and literature, value judgment, affective thinking abilitie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trapersonal domain which make manifest the talent consist of language attitudes and motivations,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language experience. These elements play roles as catalysts for talent in specific areas such as academics, arts, press, management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CT.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며, 더더구나 국어와 관련한 언어·문학 영재교육은 그 역사나 학생 수 등에서도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에는 국가적 투자나 관심의 부족도 있겠지만 그동안 관련 연구 부족도 언급되지 않을 수 없다. 영재성은 재능과 구별된다. 가네(Gagné)는 영재성(giftedness)과 재능(talent)을 각각 선천적 능력과 후천적 숙달성으로 차별화하되, 상위 10% 이내로 특정 영역에서 현저한 능력을 보인다는 점을 공통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20세기 초반에 상위 1%로 좁게 잡았던 영재성의 개념이 최근 들어 10%까지, 심지어 렌줄리의 경우는 ‘평균 이상의 능력’으로 정의함으로써, 훨씬 더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관점을 보여준다. 또한 ‘영재’와 ‘재능’에 대한 개념이 구분됨과 동시에 둘 모두가 교육적 관심의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네의 이러한 탁견에도 불구하고 이는 어디까지나 영재성과 재능에 대한 일반 모형에 불과하기 때문에 언어·문학 영재성이나 재능의 논의에 그대로 차용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천적인 언어·문학 영재성의 하위 요소로 ‘언어 기호 처리 능력, 창의적 언어·문학 능력, 정의적 사고 능력, 가치적 사고 능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영재성을 발현시키는 개인 내적 영역의 핵심 특성으로 ‘언어 태도 및 성향’과 ‘언어생활 및 교수·학습 환경’이 촉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언어·문학의 영재성은 개인 내적 영역과 환경 영역에 적절하게 노출되었을 때 언어·문학적 재능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언어·문학적 재능의 구체적 수행 분야는 학문, 예술, 언론, 경영, 대인관계,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현될 수 있다. 향후 구체적인 판별 도구와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아동들의 언어·문학 영재교육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3-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17 | 1.432 | 0.2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