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Protagoras와 The Republic: 교양의 결과로서 철학과 교육 = Plato’s Protagoras and The Republic: Philosophy as Result of Culture and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0(42쪽)
제공처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Past Masters라는 총서 중에서 하나인 R. M. Hare의 Plato라는 책에는 편집장인 Kaith Thomas의 서평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비록 플라톤이 가장 초기의 철학자이고 그의 작품이 아주 광범하게 잔존하지만 23세기 후 사상가들은 여전히 그의 사상을 무시할 수 없다. 논리학에서, 형이상학에서, 그리고 도덕철학과 정치철학에서 플라톤은 여전히 출발점이다.
철학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우리가 쉽게 연상할 수 있는 철학자는 특히 서양에서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철학이 놀람에서 시작하며, 인간 본성 그 자체 내 어딘가에 그 뿌리를 갖고 있다고 믿는다. 인간은 아마 놀랄 수 있는 유일한 피조물이다. 이러한 놀람에서 고대 그리스에서 두 사람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실재의 본질과 인간의 실재와의 관계로서 철학을 창시했다(Rauch, 1965: 5).
플라톤의 많은 대화편들에서 교육과 관련하여 경험과학적인 측면에서 쓰인 대화편은 『프로타고라스』(Protagoras)라고 한다면 철학적 측면에서 쓰인 대화편은 『국가』(The Republic)이다. 전자에서 플라톤은 경험과학 철학인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의 철학과 ‘덕의 교육 가능성’을 기술하고 있다고 한다면 후자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는 플라톤은 자신의 교육개념인 인격형성으로서의 교육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의 철학적 입장은 전자가 경험과학 철학에서 덕의 교육가능성을 논증하려고 한 반면에 후자는 전자의 경험과학적 입장에 비판적이었던 소크라테스의 입장에서 플라톤은 인격형성으로서 교육을 논증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과학적인 교육개념과 철학적 교육개념과의 대비에 의한 두 대화편인 플라톤의 Protagoras와 Republic에서 교양의 결과로서 철학을 논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그 주요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In this paper, I shall try to consider philosophy as ‘result of culture’ and education from three important viewpoints of Sophist’s philosophy and Socrates’, or Plato’s philosophy. What is philosophy? Most philosophers believe that philosophy begins in wonder, and thus has its roots somewhere in human nature itself. Men are probably the only creature who can wonder. They can wonder at the mystery of man’s existence, and at the fact that the world exists or, finding no such “mysteries,” can wonder about the nature of the world and the nature of man’s knowledge of it.
Out of this wonder, two men in ancient Greece created philosophy as we know it today. By Rauch’s Indication, Plato’s philosophy have had impact and influence on Western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eory(Rauch, 1965: 5). Thus Plato regarded the human soul as a complex whole, consisting of three ‘forms’, ‘kinds’, or ‘parts’, as he variously calls them. The first of these, beginning at the lower end in the scale of worth, is ‘appetite’. The second element in the Platonic analysis of the soul is not quite so easily described or understood, but commonly translated ‘spirit’, and the third element in Plato’s mind the highest, is that which he call ‘philosophic’(Nettleship, 1951: 9-14). Therefore, Plato was not only an unsurpassed philosopher and a brilliant author but a great philosopher of education whose practical vocation in life was that of an educator.
In a Dialogue of Plato’s works, Protagoras begins by maintaining that virtue can be taught(he is a professional teacher). Socrates holds that virtue cannot be taught. By the time the dialogue ends. the two men have apparently reversed their positions. Protagoras now says that virtue cannot be taught, Socrates now says that virtue can be taught. This is not, however, a genuine reversal of position. Socrates has merely re-fined what we are to mean by virtue. His position was consistent from beginning to end: if what we mean by virtue is the conventional morality of society, then this is not taught. But virtue is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orality. Virtue is knowledge, and in this sense alone can we say that virtue can be taught(Rauch. 1965: 104-105). In this article “virtue can be taught” sophistic and Plato’ points of view shall be considered the following subject. To sum up:
I. Socratic concept of Education. II. Sophism and Education 1. Sophistic Concept of Education 2. Sophistic Education of Virtue. III. Plato’s Philosophy and Education 1. Plato’s Concept of Education. 2. Education as Character Training 1V. Conclusion: Sophistic and Plato’s Philosophies as Result of Cul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