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상업공간에 적용되는 해학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n Design on Commercial Spaces -Focusing on Food and Beverage Space
저자
이진영 (전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5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53(13쪽)
제공처
(Background and Purpose)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fun design, which can be the one of main aspects
of converting rational design to emotional design thinking. In
particular, through analyzing commercial spaces to which fun
design is applied, this study propos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methods of design development that can help designers
establish effective design concepts and lead users to the space
with emotional motivation. (Method)The study focuses its analysis
on food and beverage spaces among the commercial spaces to
which fun design is applied using the analysis method of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cases since
the year 2000, when emotional design started to be actively
applied. (Result)This study has verified that fun design can be an
approach that can arouse positive emotions about a place in
customers and induce them to visit it constantly. The level of the
conceptual application of fun design may differ based on the types
of space, but this study has found that fun design is one of the
condition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design of commercial
spaces in such a way that they stimulate emotion.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에서는 이성 중심에서 감성 중심으로의 사고의 전환의 축이라 할 수 있는 해학적 디자인의 특징에 대해 정의하고자 한다. 특히 해학적 디자인이 적용된 상업공간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상업공간 디자인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디자이너 스스로 효과적인 디자인 개념을 설정하고 이용자들에게는 감성적 동기를 유발하는 공간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디자인 전개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해학적 디자인이 적용된 상업공간으로 소개된 작품들 중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분석대상을 선정하고 문헌고찰을 통한 사례연구 분석방법으로 조사, 분석한다. 단 사례대상의 시간적 범위는 감성적 디자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적용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한다.
(결과)본 연구를 통해 해학적 디자인은 상업공간을 찾는 고객들에게 장소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켜 지속적으로 발길을 유도하게 하며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게 하는 접근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공간의 유형에 따라 해학적 디자인의 개념 적용이 미치는 정도는 다소 차이가 있을 지라도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디자인전개 방법 중 하나로서 상업공간의 디자인을 전개해나가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요건 중 하나라고 확신할 수 있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