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생들의 발산적 영어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74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4(26쪽)
제공처
본 연구는 2년의 기간을 거쳐 한국 대학생 398명에게 창의적 사고기법 중의 하나인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학기 프로젝트 7개를 집중적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하고 개별활동지마다 점수와 피드백을 주었다. 이러한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행위를 촉진하도록 격려하였으며 학습자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영어로 과감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였다. 일련의 발산적 영어활동들의 단계적 난이도를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발산적 사고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함양과 환경 조성을 제공하였다. 수강학생들은 대부분 대학교 1학년과 2학년들로 구성되어 있고 11개의 설문문항을 질문하였고 각 문항별로 응답유형(주관식, 자유형식)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발산적인 영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아이디어와 의견을 도출될 수 있도록 질문과 워크시트를 통해 유도하는 활동이므로 설문지 형식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질문에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설문결과의 분석은 주로 학생들의 주관적인 설문 응답을 텍스트 분석하였기 때문에 문항 간 교차 분석하는 부분은 크게 의미가 없었다. 긍정적으로 답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일관성 있게 긍정적이고 모르겠다/아니다 라는 부정적인 답변을 한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과별/학년별/성별 차이에도 별다른 특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당부분의 발산적 영어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창의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발산적인 영어 학습활동의 중요성을 인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서의 수렴적 영어 학습활동과 더불어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통합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발전과 적용을 위해 학생들은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들과 제안을 하였으며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들이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려운 이유와 환경을 조목조목 설명하기도 했다. 설문 결과를 집계하면서 향후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교과과정과 정책의 변화, 평가방법의 다양성 등 해결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도 제안하며 7가지 고찰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This research asked 398 Korean college students to write down 5 or 7 worksheets as team work projects and homework regard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gave feedback on their responses per each semester. Through thes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themselves were encouraged to facilitate creative thinking behavior and guided to express their ideas and opinion in English.
By applying the gradual degree of difficulty,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helped students think creatively and provided the environment they were able to freely express what they thought.
The survey respondents mostly consisted of 1st and 2nd year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capital and two local areas. At the end of each semester after completing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open ended 11questions.
Since the purpose of the divergent English activity was to induce students free ideas and opinions via questions and worksheets, the style of the questionnaire was to describe their unconstrained ideas and opinions.
Beca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ext analysis of the open-ended responses, there were no meaning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question.
However, many survey respon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for the creative English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vergent and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To develop th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each student understandably suggested variable methods and strategies and sharply explained the difficult reasons to apply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iented the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system of an college and company entrance examination.
B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tres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the variability of evaluation and so on for introduc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in the fu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