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사회에서 K팝 댄스의 의미: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K-pop Dance in Korean Society Through Newspaper Articles Since the 200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3-396(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K팝 댄스를 “한국의 대중음악산업의 생산체계를 통해 제작 및 배포된 춤을 일컫는 것”이자 우리사회가 공유하는 하나의 ‘상징’으로 바라보면서, 한국 주요 신문사의 K팝 댄스 기사를 대상으로 그 사회적 의미와 이데올로기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설계한 절차에 따라 K팝 댄스 기사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기사를 대상으로 양적이고 질적인 차원에서 K팝 댄스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양적 측면에서 한국의 신문기사는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 기사량이 저조하게 나타나, K팝 댄스의 확장 및 점증하는 영향력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질적 측면에서는 ‘사회에 대한 유익’ 혹은 ‘국가 이미지’ 또는 ‘수익창출의 자원’ 등과 연관되는 “도구적 기능” 프레임에 집중하며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춤의 문화적 본질을 논하는 “본질적 가치”에 대해서는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어 대조적이었다. 즉, 한국의 주요 일간지들은 K팝 댄스의 현상을 객관적으로 보도한다기보다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기사를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K팝 댄스의 세계적 인기와 문화로서의 저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사회에서 자본 혹은 정치적인 부분으로부터 자유로운 하나의 문화로 여겨지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This study seeks to view K-pop dance as the “dances produc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production system of Korea’s popular music industry” and the “symbol” shared by Korean society. I tried to examine the social meaning and the ideology of K-pop dance articles in major Korean newspapers. For this purpose, I extracted K-pop dance articles according to the designed procedure, and then examined how K-pop dance was covered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 these articles. As a result, quantitatively, the spread and influence of K-pop dance were not properly reflected due to the small amount of Korean newspaper articles, except for some periods. Qualitatively, various discussions are centered on the “Instrumental Function” frame related to ‘Benefit to Society’, ‘National Image’, ‘Resources for Profit’, etc. In contrast, the cultural essence of dance - its “intrinsic value” - is not well addressed. This suggests that Korean newspapers are organizing articles in a way that supports social ideology rather than objectively reporting the phenomenon of K-pop dance. In conclusion, despite K-pop dance’s global popularity and cultural potential, it is not yet considered a culture free from capital or politics in Korean socie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