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70년대 후반 부산지역 학생운동과 부마항쟁 = 부산대 시위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63-396(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1970년대 후반 부산에서는 진보적 종교계를 필두로, 민주세력의 결집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와 연동하여 1978년 부산대에서 벌어진 두 차례의 시위 기도는, 비록 성공하지 못했지만 학생운동의 기반을 확충하는 데 기여했다. 1979년 부산대에서는 조직적 학생운동이 등장했고, 비판적 사회인식이 확산되었으며, 노동야학을 통해 학생운동의 외연이 확장되었다. 그 결과 소위 ‘학생운동권’이 형성되었던 바, 이는 부산대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이를 기반으로 1979년 부산대의 시위는 전개되었다. 부마항쟁을 촉발한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 시위의 발단은 최초의 부산대 운동권 정책회의에서 찾을 수 있다. 2학기 개학을 전후한 시기에 개최된 이 회의에서 이진걸 그룹의 계획이 최초로 부산대 ‘학생운동권’에 공론화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부산대 학생운동권은 조직력을 총동원하여 시위를 준비했지만, 경험부족으로 인한 실책으로 시위는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시위 실패로 인한 아쉬움과 자책감은 이미 학내에 만연한 비판적 정서와 맞물려 가눌 수 없는 분노를 촉발했고, 이를 발판으로 예상에 없던 정광민이 등장하면서 시위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제 학생운동권은 정광민과 결합했고, 마침내 5천여 명이 참여하는 거대한 유신 반대 시위가 폭발한 것이다.
In the late 1970s, Busan showed a prominent democratic coalition with the leading religious circles. In this connection, two attempts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PNU) in 1978 had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foundation of the student movement, although unsuccessful. In 1979, at PNU, a systematic student movement emerged, a critical social awareness spread, as well as labor field studies expanded the scope of student movement. As a result, the so-called "student activist groups" form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PNU.
Based on this, the university staged a protest in 1979. The origin of the PNU protest started on October 16, 1979, when it started at the first the meeting of leaders in the PNU student movement. This is because Lee Jin-Geol group"s plan was first publicized to the BNU student activist groups at this meeting, which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second semester. Since then, the BNU student activist groups had mobilized all their activists and fellows to stage protests, but due to mistakes caused by his inexperience, the protest had failed. However, the regrets and disappointment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protests triggered anger that could not be tied together with critical emotions already in the PNU, and the protest came to a new stage with the emergence of the unexpected Jeong Gwang-Min. Now that the student movement has joined Chung Kwang-Min, it has finally exploded a massive protest against Yushin that involved more than 5,000 studen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