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콤팩트시티의 공유 업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Wework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Shared Office Space -Focusing on the Wework Projec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39-357(1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도시가 급속도로 발전함으로 인해 도시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 환경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자원의 과도한 사용 및 환경오염 등이 도시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을 연구 배경으로 삼아 자원 절약과 환경개선을 위해 기존 도시의 공유 공간 구축과 도시 재생 실현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콤팩트 시티의 공유 공간 조성을 통해 원도시의 자연환경 문제를 완화하는데 있다. Wework프로젝트의 대표적 사례를 선택해 공유 업무 공간의 서로 다른 특성의 수량 분석하고 중요도를 구분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와 사례분석 결과를 중요도 추세 도표로 요악하였고, 그 도표를 근거로 미래의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 조성에 디자인적 영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콤팩트 시티 개념을 근거로 이론적 고찰과 관련 특성을 추출해 정리한다. 또한 공유의 개념에 대해 이론적 고찰 및 서로 다른 공유 공간에 존재하는 특성을 정리한다. 이를 토대로 양자관계를 찾아 ‘공유 공간’과 ‘콤팩트 시티’의 연관성을 찾아내고, 콤팩트 시티의 공유 공간의 특성을 정리하며 특성에 따른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에 근거한 도표의 사례 소결의 결과, 중요도가 높은 특성은 접근성(B), 개방성(G), 교류성(J), 우연성(K)과 가변성(M)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의 일반적인 특성은 복합성(C)과 편리성(D)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가 낮은 특성은 개별성(H), 영역성(I), 놀이성(L)과 중심성(N)으로 나타났고, 관련성이 없는 특성은 고밀성(A), 사회성(E)과 경제성(F)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중요도는 콤팩트 시티에서의 공유 업무 공간 디자인에서의 활용 가치를 나타낸다. 중요도가 높은 것은 필수적 특성으로 공유 업무 공간의 디자인에서 필요하며, 중요도가 일반적이거나 낮은 특성은 보조역할으로 공간을 구체적으로 디자인할 때 최적화와 보완을 도우며, 관련성이 없는 특성은 무시해도 무방하다. 본 연구의 결론이 앞으로 콤팩트 도시의 공유 업무 공간 설계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relative resource and environmental problems will follow. Based on the fact that excessive us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the main causes of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we propose to build a Shared Space in existing cities and realize urban regeneration to save resources and improve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lleviate the resource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original city by building a Compact City Shared Space. This paper selects representative cases of the Wework project and divides the importance by analyzing the number of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spaces in the Shared Office Space. At the same time, it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and summarizes the survey results and case analysis results into an importance trend chart. Come to a conclusion, hoping to provide certain design inspiration for the future construction of a Compact City Shared Space.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Shared Space,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Space’ and ‘Compact City’, and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s Shared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rganize the chart to get the case summary, the characteristic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evaluation level, the high importance are proximity(B), openness(G), communication(J), contingency(K) and variability(M), and the general importance are complexity(C) and convenience(D). The low importance are individuality(H), territoriality(I), entertainment(L) and centrality(N), and non-relevant features are high-density(A) and sociality(E) And economy(F). Different importance levels represent the value of utilization in the design of shared workspaces in Compact Cities. Taking this result as a conclusion, we hope to provide value in the design of Shared Office Space in the futu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