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에 대한 정보 유입과 담론의 변화 = 사행 기록에서 연구 대상에까지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98(3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고는 일본인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1657~1725)에 대한 정보의 유입과 이를 통한 국내 담론의 생성과 변화 살폈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에도시대 중기의 관료이자 유학자, 문학가로 다양한 저서를 남긴 인물이다. 그는 동시대 조선인에게도 통신사를 통해 알려져 후대까지 조선에서 회자되기도 한다. 1682년과 1711년 통신사와 직·간접적으로 교류를 했으며, 이때 남은 기록들이 후배 사행원 및 당대 지식인에게 하나의 정보가 되어 그에 대한 담론이 생성되어 갔다.
조선후기 아라이 하쿠세키에 대한 담론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대외적으로는 외교의 장에서 사행에 지장을 초래한 인물로, 대내적으로는 일본 사회의 관료로서 등용과 실각이 명확한 인물로, 문학가로서 시에 뛰어났던 인물로 아라이 하쿠세키는 조선인들에게 회자된다. 이러한 담론들은 유지되거나 변형되면서 아라이 하쿠세키를 언급하는 작가의 가치관과 당대 조선사회의 가치관을 드러냈다.
근대에 이르러 제1차 교육령기(1913~1920) 총독부 보통학교 독본인 《조선어급한문독본》에 아라이 하쿠세키가 박학가이자 문학가로 소개된다. 아라이 하쿠세키에 대해 교육을 받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인은 ‘성공한 박학가’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아라이 하쿠세키를 인식했음이 신문기사로 게재되기도 한다. 이후 일본인 학자들이 선편을 잡은 아라이 하쿠세키 관련 연구들이 국내에 들어오는 등 아라이 하쿠세키에 대한 정보 유입 통로가 다양해졌고, 국내에서도 아라이 하쿠세키는 연구의 대상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된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17세기말부터 현재까지 300년 이상 우리나라에서 회자되고 있는 일본인이다. 그에 대한 담론의 생성 및 변화 과정은 각 시대별 우리나라의 일본 관련 정보 유입의 통로와 각 시대의 가치관을 입증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writing looked into the influx of information about a Japanese named Arai Hakuseki(新井白石, 1657~1725), and generation and changes of domestic discourses through the information about him.
Arai Hakuseki was a bureaucrat during the mid-Edo period, and also left various books as a Confucian scholar and literary person. Arai used to be the talk of the town until the later generation in Joseon as he was known even his contemporary Joseon people through Tongshinsa(diplomatic envoy). Arai made an direct, indirect exchange with Tongshinsa in 1682 and 1711, the records left at that time became a kind of information to his junior envoys on an official visit, and intellectuals of the day, causing a discourse on him to generate.
In late Joseon Dynasty, the discourse on Arai Hakuseki can be arranged broadly as three sorts as follows; first. externally, Arai Hakuseki was on Joseon people’s lips as a person who caused trouble to an official visit as an envoy in a diplomatic arena; second, internally, a person whose appointment and fall was crystal clear as a bureaucrat of Japanese society, and lastly, a person who was excellent in poetry as a literary person.
Such discourses exposed a writer’s values and the values of Joseon society of the day referring to Arai Hakuseki as they have been maintained or transformed.
By modern times, Arai Hakuseki is introduced as a man of considerable learning and literary person in Textbook for Korean & Classical Chinese for a primary school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1st Educational Ordinance(1913~1920).
The fact was once printed in newspaper articles that the people in Jose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Arai Hakuseki, had a new perception of Arai Hakuseki with focus on ‘a successful man of considerable learning.’ Afterwards, the information influx channel about Arai Hakuseki diversified like researches on Arai Hakuseki started by Japanese scholar preemptively flowed in Korea, etc., and Arai Hakuseki got to be established as the research object in Korea as well.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4 | 0.507 | 0.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