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선(禪)의 대중적 기법 모색 기초연구 : 발달장애인의 부적응행동 중재(intervention)에 마음챙김기법을 응용ㆍ적용한 문헌고찰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70(3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연구는 최근 그 출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 일반대중의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의 고통을 불교 선 (禪) 의 대중적 기법으로 고안·적용하여 요익 중생 방편으로 어떻게 펼칠 것인지에 대한 방안모색의 기초자료 탐색을 목적으로 했다. 그 목적을 위한 첫 번째 연구로, 선 (禪) 에 근거하여 고안된 서양의 마음챙김 기반중재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MBI) 가 (장애정도가 중증으로 여겨지는) 발달장애 인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도 효과적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한 문헌들을 고찰 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고찰된 모든 논문 들은 MBI가 발달장애인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했 으며, 그에 대한 실증적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각 연구마다 중재대상자의 발달특성에 맞춰 MBI의 세부내용과 실행절차를 수정·보완하여 대상자 맞춤식 (tailored to the subject) 으로 제공했다. 셋째, MBI가 중재대상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인지 사전 평가하는 시스템, 그의 발달수준과 특성에 맞는 마음챙김 정의와 그에 근거한 독립변인 구성요소 설정 등에 대한 명료한 프로토콜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각 연구의 독립변인에 대한 MBI의 중재실행도 및사회적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에게 적용된 MBI가 특정 중재자뿐만 아니라 다른 발달장애인들에게도 타당할지에 대한 평가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선 (禪) 의 대중적 (worldy) 기법으로 고안된 MBI가 일반 성인 및 아동·청소년의 심리치료 방편으로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부적응 특성을 개선하는 행동중재 및 교육적 기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이는 선 (禪) 이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 출현율 등으로 고통 받는 현대사회 다양한 근기의 일반대중에게 요익중생 방편으로 알맞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구체적 방법 마련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This study purpose is to find practical ideas on how to apply Seon (禪) in helping the regular population in modern society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苦) in daily lif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critique, from a Buddhist meditation perspective, the practical studie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MBI) for individuals who have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or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manage challenging behaviors. Fourteen studies providing evident data as its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ement of their adaptive behavio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ly, the evidence-based MBI was effective in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of all the subjects in the studies reviewed. Secondl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ailed to the subjects’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by modifying the level of contents and its implementing procedures including facilitative materials to the subjects’intellectual and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Thirdly, there were few neither integrated intervention manuals nor standard of MBI for the specific population cohort. The lack of resources include no integrated or standardized assessment systems to make a decision whether MBI is the best practice for the subject, its operant definition and the feasible application rang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specific population, its elements of conten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r manual including a service provider qualification. Fourth, the effect of MBI for the subjects was strengthened by checking its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which validates MBI as a promising intervention to manage challenging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Seon-inspired intervention techniques can be used in educational and therapeutic programs to manage maladaptive behaviors. This implies that Seon-inspired intervention can be applied as expedients of benefiting the regular people suffering such as of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Seon can be inspired in benefiting the people suffering by evidence-based developed frame in its concrete conceptualization and strategies to guide the people in practical way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4-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 KCI등재 |
2016-0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142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