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송연의>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Military Narratives in <Buksongyeonui(北宋演義)> and Korean Classical Nove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7-227(6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Chinese novel <Bei Song Zhi zhuan(北宋志傳)> and its Korean translation <Buksongyeonui(北宋演義)> was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e Korean classic novels through a detailed comparative review.
In Chapter 2, we review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ei Song Zhi zhuan> and <Buksongyeonui>,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is novels may have been widely known among the literate of Joseon. In addition, it reconfirmed the influence it had on the creation of <Sohyeonseongnok(蘇賢聖錄)>, which had already been raised i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we compares and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ilitary narratives in <Buksongyeonui> and the Korean classic novel. As a result, <Buksongyeonui>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novels in the point of embodying the division of "Hwai(華夷)" and confrontation with foreign enemies based on hostility to foreign enemies and a sense of national protection, and the type and development of military confrontation centered on Dosuljeon(道術戰; the magic-battle). It was inferred that And by comparing it with Seonghyungongsookryeolgi(聖賢公淑烈記)>·<Imssisamdaerok(林氏三代錄)> novel series, a new clue could be obtained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female heroes in classical novels.
Neverthel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cceptance of <Buksongyeonui> i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e classic Korean novel was not just a simple borrowing. In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antagonist, both of them presupposed the distinction of "Hwai", but there was a difference due to the issue of exclusivity. In the development of military confrontation, th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otagonist's ability. In the figure of a female hero, <Buksongyeonui> was more radical, whereas the Korean classic novel captured the individual figure of a character and the life of a woman more delicat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basis of these distinguishing points was the difference i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accepted the theory of "Hwai",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function and usage method of the military story in the play, and the problem of concern about women's self-consciousness.
Until recently, several works such a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nd <Legends of Xue Rengui(薛仁貴傳)> have been limitedly mentioned as Chinese epic literature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ilitary discourse in Korean classic novels. Now,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category and work together to deal with various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including <Buksongyeonui>. It should also be kept in mind that this influence relationship was not achieved through one-sided acceptance of Chinese novels, but rather through the independent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lassic novels.
본 연구에서는 중국소설 <북송지전>과 그 국문 번역본 <북송연의>의 군담이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과 지니는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비교 검토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북송지전>·<북송연의>의 국내 유입과 유통 관련 기록을 재검토하여 당대 조선의 식자층 사이에서 이 작품이 널리 알려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소현성록> 창작과의 연관성을 재확인하고 보충하였다.
3장에서는 <북송연의>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구체적인 내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적에 대한 적개심과 호국의식에 바탕하는 화이구분 및 이민족 적대자와의 대결을 형상화하는 점, 그리고 군사적 대결의 유형과 전개 방식 중 도술전을 중심으로 한 제반 요소들에서 <북송연의>가 한국소설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장편소설 <성현공숙렬기>·<임씨삼대록> 연작과의 비교를 통해 고전소설 속 여성영웅의 형성 문제에 관한 새로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북송연의> 수용이 단순한 차용에 그친 것은 아니라는 점 또한 확인하였다. 주인공-적대자의 대립 구도에서는 둘 모두 화이의 구분을 전제하면서도, 이민족에 대한 태도의 배타성에서 편차가 있었다. 군사적 대결의 전개 방식에서는 주인공의 능력 수준에 따라서 대결의 서술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여성영웅의 형상에서는 <북송연의>가 좀 더 파격적인 반면, 한국 고전소설은 인물의 개별 형상과 여성의 삶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별점의 바탕에는 화이론을 수용하는 역사적 맥락의 차이, 작중 내 군담의 서사적 기능과 활용 방식의 차이, 여성의 자의식에 대한 관심사의 문제 등이 자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최근까지도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중국 서사문학으로 <삼국지연의>와 <설인귀전> 등의 몇몇 작품이 한정적으로 거론되어 왔다. 이제는 연구 범주를 확장하여 <북송연의>를 포함한 여러 중국서사문학을 함께 다루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면서도 이 영향관계가 일방적인 중국소설의 수용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 고전소설의 독자적인 변용과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유념해야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9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1 | 2.301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