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화역량의 획득으로서의 도야(Bildung) -동양의 전통적 학문에서 이해한 교육을 중심으로 = Bildung as the Acquistion of cultural Ability -Focusing on education as understood in traditional Disciplines in the East
저자
최종인 (동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교육의 이론과 실천(영: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 독: Theorie und Praxis der Erziehung)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9-101(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현대 교육학에서 다루어지는 ‘교육적인 내용들’이 개별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이 존재하지 않았었던 동양의 전통적인 학문영역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졌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즉, 동양의 전통적인 학문영역에서 다루어졌었던 ‘교육적인 내용들’을 서양의 과학 패러다임에 근거한 현대 교육학에서 다루는 ‘교육적인 내용들’에 준하여 이해해 봄으로써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여 존재하는 공통적인 교육적 내용을 확인하여 인간교육의 본질적인 측면을 확인하고자 한다. 학문의 개념정의에 따라서 학문으로서의 교육학이 다루는 ‘교육적인 내용들’의 범위가 제한되고, 이 내용을 다루는 방법들이 결정되기 때문에 먼저 학문을 문화의 한 부분영역으로 상정하고, 문화적 차이에서 초래되는 서양의 과학개념과 동양의 전통적인 학문개념의 차이점을 밝힌다(II. 과학과 문화). 이후, 동양의 전통적인 학문은 지식의 객관성을 학문의 목적합리성 차원에서 이해하기 때문에 학문적 지식은 지식을 확보한 개인과 그가 속한 실제적인 삶과 유리(遊離)되지 않은 채, 그가 속한 삶, 즉 문화세계에서 그대로 실천된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동양의 전통적인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타고난 소질을 완전하게 계발하는 데 있기 때문에, 이 실천은 단순하게 현실세계에서의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인간적인 차원으로 스스로 고양되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밝힌다(III장. 인간과 학문). 동양의 전통적 학문의 목적은 이런 의미에서 ‘인간성의 계발 및 향상’ 즉, 인간의 도야(陶冶, Bildung)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도야하는 개인은 각자의 도야를 통해서 그의 문화적 세계에서 남들과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면서 항상 ‘인간성의 향상’을 추구한다. 결국 동양의 전통적 학문의 영역에서는 “교육적인 내용들”이 인간과 문화와의 관계 내에서 현대 교육학에서 이해되는 “도야“라는 범주에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도야는 문화를 창조하고, 창조된 문화를 이해하고, 이해된 문화를 다시 전승하는 문화사적인 순환을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닫힌 원형이 아니라, 열린 나선형처럼 계속적으로 고양시키는 능력, 즉 문화역량의 획득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IV장. 나가는 말).
더보기The article explores how the "educational content" dealt with in modern pedagogy was handled in the traditional academic realm of the East, where pedagogy as an individual science did not exist. In other words, by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contents' dealt with in the traditional academic domains of the East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dealt with in modern pedagogy based on the Western scientific paradigm, we try to identify the common educational content that exists across time and culture because we want identify the essential aspects of human education. To do this, first, we present science as an area of culture becaus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science determines how it deals with 'educational content' and the limitations of it, and then we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Western scientific concepts and traditional academic concepts of the East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Chapter II. Science and Culture). Later, we confirm that the traditional academic studies of the East do not secure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as a way of objectifying itself, as in Western science, but understand it as a way of applying the knowledge to the cultural world, the life in which it belongs, without the actual life and glass in which it belongs, as it is. And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the traditional disciplines is to fully develop human natural qualities, this application reveals that it aims not only to seek effectiveness in the real world, but also to promote itself on a more human level (Chapter III. Human and Disciplines).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raditional disciplines of the East is in this sense "development of human nature," namely "self-cultiv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individual who goes on “self-cultivate“ always seeks to "improve humanity" while living harmoniously in his cultural world. In other words, in the realm of traditional disciplines in the East,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al content" has been covered in the category "Bildung" which is understood in modern pedagog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culture. Thus, the Bildung seeks the ability to create culture, understand the created culture, retransfer the understood culture, and to elcvate this cycle as an open spiral, not as an closed circle(Chapter IV. Bildung as the acquisition of cultural abilit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1 | 1.91 | 1.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8 | 1.8 | 2.369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