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민참여재판의 개정법률안에 관한 일고 = 배심원 평결의 효력을 중심으로 비판적 검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5-278(34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국민이 배심원으로 형사재판에 참여하는“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이하, 참여재판법이라 칭함)”이 2007. 4. 30. 국회의 본회의를 통과하고, 2008. 1. 1.부터 시행됨에 따라 유사 이래 처음으로 배심원제도의 시행을 계기로 9년의 경험을 축적하면서 사법에의 국민참여가 현실화되기에 이르렀다. 국민참여재판(이하 ‘참여재판’이라 칭함)은 일반 시민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배심원이 재판에 참여하여 유무죄의 사실인정과 양형에 관한 견해를 제시하는 제도이다. 이는 형사재판에서 직업법관의 전유물로 여겨진 사법(司法)의 국가권력의 독점영역에서 일반시민의 상식과 경험을 형사재판절차에 반영하게 함으로서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과 국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다.
특히 이 제도는 법률의 비전문가인 일반 국민이 국가권력의 한 부분인 사법권의 영역인 형사재판절차에 참여함으로서 피고인이나 피해자가 인정할 수 있는 재판이 실현되면 국민의 사법신뢰를 증진시키며 법제도를 보다 가까이에서 접하고 이해함으로서 국민 중심의 법치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나아가 재판의 정당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애초에 이 제도의 도입취지가 사법불신에서 비롯되어 시행 9년의 경험을 갖고 10년째를 맞는 이 시점에서 본래 기대했던 효과가 잘 실현되고 있는지, 아니면 추후 법개정을 통해 문제점에 대한 제고를 살펴봄으로써 개선방향을 고찰하고, 또한 이 제도의 올바른 착근과 발전을 위하여 현시점에서 재검토 작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동 참여재판의 절차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2013. 3.「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최종안)」으로 국회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된 정부제출 개정 법률안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특히 배심원평결 존중원칙을 통하여 사법의 민주화에 대한 참여재판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ct on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took effect from 1st of January, 2008 in Korea. Korea have accumulated 9 years of experience, and reached the present. Commonly, we call Jury participation criminal trial as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But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is let citizen participate as an Juror to suggest opinion of recognition of fact or right of punishment. Therefore, it could increase the citizen’s reliability and democratic legitimacy of judicial system. Especially, this act can make understandable trial to both dependent and victim by let ordinary non-legal professional people to participate a criminal trial. This could make an effect on faith and validity of the trial. However, this act have been 9 years in Korea and going to 10th year. And it is time to reconsider this act, that it really effect as we expected when we started. This process is necessary work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proper settlement of this act. the national involve Judicial Council of Supreme Court in Korea, already work on this process from 2008 to 2012; after the analysis, they confirm the final form. On the other hand, Ministry of Justice legislate a notice for twice.
This final draft contains the contents following. (1) to grant Prosecutor with the right to an offer of trial and public participation, (2) to exclude Article 32 paragraph 6 of article 1 in ‘Court Organization Act’ from the scope of application of ‘Peoples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Act,’ to impose a duty to respect the verdict on the courts. The poor results come from a idea that it is unconstitutional that the people participate in the trial. This final draft isnt enough to implement the integrity of the system. Therefore The jury trial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legal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We expect this trial system to improve people’s credit to the Court and to give democratic control to the Court. We believe this system has opened a great era in our legal history. For the jury to settle firmly in our country as a efficient system, it will need a lot of understanding from people and very positive efforts on the part of lawyers.
This study is look for a procedur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system, accomplishment of enforcement and developme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9-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1.08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