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역지불합의 관련 판결평석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2두24498) = A STUDY OF PRECED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1.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9-143(25쪽)
제공처
소장기관
특허권자인 신약 개발자가 자신과 특허 분쟁 중인 복제약 개발자에게 일정 대가를 지불하여 특허 분쟁을 종결하고, 당해 복제약 개발자의 시장진입을 일정 기간 지연하기로 하는 합의를 ‘역지불합의’라 하는데, 이 역지불합의에 대해 미국에서는 경쟁법 적용 면제 범위의 확정과 행위의 위법성(경쟁제한성) 판단이 일 단계의 분석(one step analysis)으로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적용 면제의 범위를 확정하기 위하여 합리의 원칙을 적용한 결과, 정당화되지 않는 경쟁제한적 효과가 존재한다면 그 범위에서 적용이 면제되지 않으며, 동시에 그 행위는 경쟁제한적(위법한) 합의로서 경쟁법 위반이 된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역지불합의에 대하여 사실상 경쟁법 적용 면제를 인정하지 않고 바로 경쟁법을 적용하되, 합리의 원칙에 의하여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독점규제법 제59조는“이 법의 규정은 저작권법, 특허법, 실용신안법, 디자인보호법 또는 상표법에 의한 권리의 정당한 행사라고 인정되는 행위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라는 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독점규제법에서는 적용 면제에 대해서는 제59조, 위법성(부당한 경쟁제한성) 판단에 대해서는 제19조 제1항이 적용되어 이 단계의 분석 (two step analysis)을 거치야 한다. 독점규제법과 특허법이 궁극적인 목적은 같고, 보완적인 성격 지닌다고 하더라도 특허법은 독점력을 부여하여 그 목적에 도달하고자 하는 반면, 독점규제법은 독점을 규제하여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 그목적에 도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두 법이 충돌할 경우 어느 법을 우선시킬 것인지는 입법정책에 달려 있다. 우리 법은 독점규제법 제59조가 있으므로 자유로운 경쟁보다 특허권을 더 보호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재산권의 정당한 행사 범위내에 있는 경쟁제한행위는 독점규제법의 적용면제 대상이다.
더보기A new drug developer who owns pharmaceutical patent rights for such drug and a generic drug developer may settle disputes between them by the new drug developer``s payment of a certain amount of compensation to the generic drug developer and the generic drug developer``s commitment not to enter to the mark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greed and such settlement is called as "Reverse payment settlement". In the U.S. in terms of Reverse payment settlement, ascertainment of exemption limits for application of Antitrust laws and judgment on illegitimacy of behavior (anti competitiveness) are synthetically made in one step analysis. In other words, to define the scope of exemption limits for application of the laws, the rule of reason will be applied and in a case that such application finds existence of any anti-competitiveness effects, application of the laws will not be exempted in such scope and the behavior in concern, as a anti-competitive (illegitimate) settlement, will be the violation of antitrust laws. In fact, the U.S. Federal Supreme Court has not acknowledged the exemption of application of Antitrust laws into Reverse payment settlement and requires the market to apply Antitrust laws directly but according to the rule of reason. However, Article 59 of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Monopoly Regulation Act") defines "This Act shall not apply to any act which is deemed the justifiable exercise of the right under the Copyright Act, the Patent Act, the Utility Model Act, the Design Protection Act or the Trademark Act." Therefore,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ct, two step analysis of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of Article 59 for consideration on exemption of application and an application of Article 19(1) for judgment on illegitimacy (unjustifiable anti- competitiveness) shall be applied. Although the Monopoly Regulation Act and the Korean Patent Act (the "Patent Act") share the ultimate goal and have complementary characters, the difference is that the Patent Act intends to realize its goal by authorizing a privilege to monopolize a market but the Monopoly Regulation Act regulates such monopolization and encourages free competition for achieving its goal. If there is any inconsistency between applications of the both Acts, prioritization between them will be made based on legislative policies. Korean regulation system protects patent rights more than free competition with Article 59 of the Monopoly Regulation Act. Therefore, any anti-competitiveness behavior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justifiable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ll be the subject to exemption of the Monopoly Regulation Act applicat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