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인도철학과 해탈의 관계를 둘러싼 한 논쟁 : Potter와 Daya Krishna 및 Mohanty = A Controversy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an Philosophy and Moksa: Potter, Daya Krishna, and Mohan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155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5-139(35쪽)
제공처
이 연구는 인도철학과 해탈의 관계를 중심으로 포터와 다야 크리쉬나 및 모 한티 사이에 일어났던 논쟁을 다룬 것이다. 1963년에 출간된 그의 Presuppositions of India s Philosophies에서 포터는 인도철학과 해탈이 필수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해탈에 관한 의심의 제거를 위해 사변철학이 등장했으며, 현대 인도의 철학자들은 서양적인 정향을 지양하고, 고전 인도철학들(darsanas)을 현 대적으로 유관하게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다야는 “진정한 철학”의 입장에서 포터의 그러한 주장들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논박했다. 이제 포터는 다야가 철학을 개념적 분석으로 보면서, 해탈의 추구를 표현하는 많은 문헌 근거들을 무시하고 있다고 다시 논박했다. 나중에 모한티는 인도철학이 느슨한 체계들이고,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으로 해탈과 연관되어 있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 이후 다야는 포터가 진지한 논쟁에서 물러났다고 보아, 인도철학의 대안적 전망을 명료화하는데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인도철학을 해탈만을 추구하는 체계나 철학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해탈도 초월성과 내재성을 상보적으로 갖추고, 더 완전한 자유를 향한 변증 법적 운동을 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인도철학의 체계들은 해탈과 불가결하게 관계되는 것도, 별 관계가 없는 것도 아니다. 느슨한 체계들로서의 인도철학이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해탈의 기획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모한티의 견해는 적절하다. 이 논쟁에서는 의사소통의 문제도 드러났지만, 결과적으로 세 철학자는 자신의 철학을 상보적으로 더욱 발전시켜가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이제 인 도철학을 ‘인도’ 만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과 현대와의 만남, 그리고 성찰적이고 다른 분야들과도 연계되며, 자유를 포함한 진실과 가치들의 자유로운 탐구로서 발전시킬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This is an inquiry into a controversy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an philosophy and moksa or freedom which arose between Karl Potter, Daya Krishna, and J. N. Mohanty. In 1963 through his Presuppositions of India s Philosophies Potter asserted that Indian philosophies as darsanas were integrally related to moksa, and speculative philosophy came in an effort to remove doubts concerning moksa. He also insisted that today s Indian philosophers should overcome the current Western orientations, and make classical Indian philosophical systems relevant to their living problems. In his standpoint of philosophy proper , Daya then straightforwardly denied and repudiated all these assertions. Then Potter criticized that conceiving of philosophy as philosophical analysis Daya ignores a very large portion of those texts which express moksa-seeking. Later Mohanty took a moderate position between them that Indian philosophies are loose systems, and they are explicitly or implicitly related to moksa. Eventually, judging that Potter opted out of serious debate, Daya then seems to concentrate his efforts on articulating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Indian philosophy. The crux of my understanding and estimate of this controvers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hether Indian philosophy is spiritual or not is not a genuine issue. Neither restricting Indian philosophy to solely moksa-seeking darsanas nor to philosophy proper is appropriate. Moksa as freedom can be seen to hav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s its integral aspects and also to be in constantly dialectical movement towards complete freedom. Indian philosophical systems are neither integrally related nor unrelated to moksa. Mohanty s view that Indian philosophy, as loose systems, explicitly or implicitly accept the founding project of moksa is plausible. This controversy revealed also certain problem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but these would be utilizable as impetu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views and exchange. Subsequently the three philosophers appear to supplement each other s philosophy and to develop one s own further through these debates. Now it appears to be the best task for us to develop Indian philosophy, as an encounter between not only Indian but also our local-and-global traditions and modernity, as a creative enterprise with reflexivity and open for collaboration with the other disciplines, and also as a free inquiry into truth and values including freedom.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