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외부투사적 동일시 분석 = 영화 <싸이코>, <존 말코비치 되기>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74(3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여러 개념 중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다루되, 알프레드 히치콕의 <싸이코>(1960)와 스파이크 존스의 <존 말코비치 되기>(1960)라는 두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I부에서는 프로이트, 페렌치, 아브라함이 말하는 외부투사와 내부투사의 의미를 정리한다. 그리고 II부에서는 외부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게 되는 동기나 조건인 갈망과 선망, 부인(否認)을 검토한 후 투사 대상을 비워내는 문제나 대상의 고유자질에 대한 문제등의 특징을 다룬다. 이 때, 같은 외부투사적 동일시란기제라도 바로 ‘입장 고안’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점 역시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싸이코>의 노먼의 경우는 외부로 투사되는 자신의 부분이 투사대상인 어머니 안에 완전히 매몰되지만 <존 말코비치 되기> 의 크랙, 라티, 맥신 등은 ‘입장 고안’에 성공하였기에 각자의 리비도와 꿈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논함에 있어 두 영화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싸이코>이기에 노먼의 심리는 실지로 정신 분석할 만한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다. 반면 <존 말코비치 되기>는 인물들 자체의 정신분석적 가치 외에도, ‘인형극’이나 ‘통로’라는 영화적 설정으로써 외부투사적 동일시란 무의식적 심리기제를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We have chosen Norman in Psycho of Alfred Hitchcock and the various characters of Being John Malkovich of Spike Jonze to analyse their projective identification.
Before starting our reflection on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we examine in detail the concept of ‘projection’ and ‘introjection’, which concerns the part I. Sigmund Freud wrote about the projection from 1894 as an exteriorization of internal and psychological process. Sandor Ferenczi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rojection as an absorption of the outer reality. And Karl Abraham described the introjection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which takes place during the oral stage.
The part II concerns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that Melanie Klein has explored in particular by analysing Fabien, the hero of Julien Green’s novel. The fact that eagerness, envy, hatred and denial are the conditions which produce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is common to Fabien, Norman and other characters of Being John Malkovich. They gut - in their fantasy - the object of their projective identification also. And in that process,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don’t exist for these subjects as far as it"s precisely about the desires of the subject itself that are projected to be identified aft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Norman and characters of Being John Malkovich. It concerns the question whether the part of the subject which is projected dominates the object or is dominated by the object. In other words, Norman is engulfed in his mother whereas the characters of Being John Malkovich manage to assimilate their internal objects for a better psychological integration. It depends on wether the subject succeed in elaborating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or not.
The difference between Psycho and Being John Malkovich can be found by the fact that the former is based on the true story so can be the realistic material of psychoanalysis, while in the latter the value of symbolism -marionette, tunnel- is rather magnified to incarnate the unconscious and psychological phenomen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43 | 0.65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