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전망 -대구가톨릭대학교 <글쓰기와 말하기> 교과목의 경우 =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the education on ‘Writing and Speaking’ -A case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68(30쪽)
KCI 피인용횟수
31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speaking and writing in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nd to present the better prospect of the teaching. The knowledge convergenc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people with the competency of creative problem-solving,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and the character and quality to be equipped with as a world citizen. In this context, universities are aggressively reflecting the needs in our society, and reorient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Teaching speaking and writing is reinforced in that especially, the ability fostered in the course of speaking and writing coincides with the ability needed in knowledge convergence society. Accordingly, various speaking and writing programs are provided in universities. The speaking and writing programs in universities a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The first type is a separation type where speaking and writing are taught separately, and the second is a parallel type where speaking and writing are taught together as one subject, and the third is application type where writing is the main part and speaking is utilized in the form of presentation and discussion. Falling into the second category as a parallel type, a regular subject under the title of “Writing and Speaking” is provided in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eveloped by the Catholic University, it self, its textbook is comprised effectively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by studying the theory and practice for 15 weeks. In addition to regular programs, writing contests, discussion competitions, and intensive speaking and writing courses provided in vacations, 1:1 writing tutoring service, writing guiding classes, and special lectures by invited speakers are held to increase students’ competency of communication. Like this, the regular programs and extra curriculum interacts with each other, and teaching speaking and writing in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re producing synergy effect. However, such matters as the reduction in number of students in class, introduction of intensive subjects as a regular program, WAC(writing across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better education.
더보기이 글의 목적은 글쓰기와 말하기를 한 교과목 안에 배치해서 교육하고 있는 대구가톨릭대학교의 교육 현황을 살피고 더 나은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에 관한 담론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21세기 지식융합사회는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인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품성과 자질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학들은 사회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고 수용하며 교육의 방향을 잡아 가고 있는 중이다. 특히 글을 쓰고 말하는 과정에서 길러지는 능력은 지식융합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은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마다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각 대학의 글쓰기와 말하기 교과목을 살펴보면 글쓰기와 말하기를 각각 다른 교과목으로 개설해서 교육하는 분리형, 하나의 교과목 안에서 글쓰기와 말하기를 함께 교육하는 병행형, 글쓰기를 주로 하되 발표와 토론 등의 말하기를 활용해서 교육하는 활용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는 <글쓰기와 말하기>라는 정규 교과목을 개설해서 교과목의 명칭처럼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자체 개발된 교재는 15주 동안 이론과 실습을 통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규교과 이외에도 방학 중 무료로 개설되는 글쓰기와 말하기 심화과정, 글쓰기센터에서 운영하는 1:1 글쓰기 첨삭지도, 글쓰기 공모전, 토론대회 등을 통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데 힘쓰고 있다. 이처럼 대구가톨릭대학교의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은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이 상호작용을 하며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수강인원 감축, 정규교과로서 글쓰기와 말하기 관련 심화과목의 개설, 전공글쓰기와의 연계 등에 대한 문제를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1 | 2.01 | 2.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1 | 2.11 | 2.837 | 0.4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