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서해 감조하천 내 洑 현황과 운영 - 황해도 남부 화양천 유역을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46(38쪽)
제공처
조선후기 서해 연안 감조하천에 소재한 보에 대한 사례 연구인 이 논문은 황해도 남부 화양천을 대상으로 19세기 이후 이 일대 보 현황을 보여주고, 궁방 소유 보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말 서해 연안 감조하천 내 보의 구체적인 실상에 접근할 수 있었다. 19세기에 본격화된 화양천 일대 보 축조는 하류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 築洑의 전개는 궁방이 주도하였다. 1900년대 중엽까지 존속했던 궁방 소유 보는 1900년대 후반 궁방전 폐지 이후 국유화되었다. 이후 정부는 화양천 본류 하류에 보를 축조하여, 기존에 있던 보를 신규 보를 중심으로 한 수리체계에 편입시켰다. 감조하천 내에 있는 보는 관개뿐만 아니라 방조의 기능을 가진 복합 수리시설이었다. 洑役 관련 문서에서 확인되는 화양천 하류 지역 보는 매년 축조를 반복해야 하는 한시적인 시설이었다. 화양천과 같이 서해 연안 감조하천 내에서 보를 축조하는 작업은 한정된 시간에 좁은 수로를 통해 올라오는 조수를 차단해야 하는 어려운 공사였으며,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했다. 궁방은 洑民에 대한 頉還 등 궁장토에 주어진 특권을 통해 축보 인력을 확보하였다. 점차 특권이 혁파되면서 보 운영을 위해 궁방은 도장을 지정해 위탁 경영을 하거나, 지역민 조직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운영 방식의 차이는 보별로 水稅率의 차이로 나타났다.
더보기This paper is the case study on barrages located in the tidal river on the west coa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in research area is Hwayangcheon in Southern Hwanghae-do where the lots of documents of facilities for water use are lef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s the irrigation system and the ways of irrigation facilities management and to clarify the historical reality of water use. Construction of barrages in Hwayangcheon had expanded in 19th Century led by kungbangs. Kungbangs had owned the irrigation facilities and collected water taxes from users. The barrages in the tidal river are the complex facilities for water use to have the functions for blocking the tide as well as irrigation. The construction like this was not permanent but temporary establishment becaus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the technology. The work to build the barrage across the tidal river needed a lot of manpower. Water tax rates were set depending on the ways of labor Mobiliz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