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 민주화와 친일청산 문제 = Korea’s Democratization and Punishing Pro-Japane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0-166(37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nishing pro-Japanese and Korea’s democratization. After Korea’s Liberation the work of punishing pro-Japanese was ended in failure by pro-Japanese group and Syngman Rhee Government’s obstruction. After that pro-Japanese group became the ruling power of Korean society. They have gained the core roles in every field for a long period of dictatorial time. The dictatorship was for the protection of the pro-Japanese group and pro-Japanese group functioned as the support base of the dictatorship. Therefore, pro-Japanese group was the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democratization. In spite of that punishing pro-Japanese was not raised in the process of Korea’s pro-democracy movement. The main cause is that the dictatorship made this issue so distorted that it was running away from the reality. The characteristic of pro-democracy movement and its influence limit were another reasons. It was after June struggle of 1987 that issue of punishing pro-Japanese restarted.
It has obtained a good result. The encyclopedia of the Pro-Japanese Collaborationists is the representative outcome. But it is mainly for the historic orderrather than legal one as much time have passed. For that reason these outcomes can not be used as an opportunity for the democratic development. Therefore, our future tasks are to spread and to socialize the democratic and peaceful values of this issue.
이 글은 친일청산 문제와 한국 민주주의의 관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어 독재정권하의 친일세력의 실태, 민주화 과정에서의 친일청산 문제, 민주화 이후 친일청산운동의 성과와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친일청산은 반드시 필요한 민족적 과제였고 시대적 요청이었지만, 반민특위의 실패로 좌절되었다. 이후 친일세력은 독재정권을 뒷받침하며, 한국 사회의 지배세력으로 거듭났다. 친일세력은 장기간에 걸친 독재 기간 동안 모든 분야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했다. 독재체제는 친일세력이 부활하는 강력한 보호막이었고, 친일세력은 독재체제를 강건하게 유지하는 토대였다. 이러한 점에서 친일세력의 존재는 한국 민주화의 장애요인이었으며, 친일청산은 민주적 가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친일청산 문제는 주요 현안이 아니었다. 장기간의 독재에 따른 친일문제에 대한 국가 주도의 왜곡된 기억과 현실과의 괴리, 현상적인 반독재투쟁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한국 민주화운동의 특성, 친일문제에 자유롭지 못했던 민주화운동 세력 내부의 한계 등이 그 원인이었다. 결국 반민특위가 실패한 이후 친일청산 문제는 오랜 잠복기를 거쳐 1987년 6월항쟁 이후 민주화의 진전과 함께 다시 대두되었다. 이른 ‘제2의 친일청산운동’은 민주화운동의 산물이었고, 운동의 방향도 이미 오랜 세월이 지났기 때문에 인적 · 제도적 청산보다는 진상규명을 통한 역사적 청산에 중점을 두었다. 그 성과는 컸다. 그러나 그 성과가 현재까지는 민주주의 발전의 계기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한국민주주의의 구조적 문제가 원인이지만, 최근의 친일청산운동이 갖고 있는 특성, 즉 해방 직후에 해결되지 못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역점을 둔 나머지 반민특위 와해 이후의 친일청산 문제를 소홀했던 것도 한 원인이었다. 따라서 친일청산이 내포하고 있는 민주적 · 평화적 가치를 확산시키고 사회화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3 | 1.316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