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반논문 : 『법화경』에 나타난 "시간개념"과 "수"의 문제 -겁(劫, kalpa)을 중심으로- = Study on Issues of "Time Concept" and "Number" Discovered from 『Lotus Sutra』: With Focus on "Kalpa (劫)"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69-399(31쪽)
제공처
본고는 『법화경』의 시간표현수 가운데 ``겁(劫, kalpa)``을 표현하는 ``수``에 내재된 ``시간개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법화경』에서 묘사된 시간은 객관적 시간인 ``크로노스(Kronos)``와 주관적인 시간인 ``카이로스(Kairos)``의 동시적 이해를 통해 비 균질적이고 유동적이며 가역적인 붓다의 설법의 특성이 비유와 상징만이 아닌 구체적인 실체를 제시하고 있을 개연성을 살펴본 것이다. ``겁(劫)``에 내재된 무한성의 의미와 함께 현대 과학적인 정의나, 힌두교에서 언급한 43억 2천만년과 같은 구체적인 시간으로 본다면 유한성의 개념으로 물리적, 수학적 개념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겁(劫)``을 기본 단위로 하고 표현된 시간개념이 시간의 운동성과 인식작용의 주체에 동시에 중심을 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논자는 『법화경』의 시간개념 표현 가운데 ``무량(無量)``, ``불가사의(不可思議)`` 등에 대한 해석을 ``정도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도 상상(想像)조차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모호한 무한적인 것으로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무량``을 ``1068``으로 ``불가사의``를 ``1064``으로 유한적인 것으로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붓다의 존재성에 대한 문제는 수명의 영원성에 중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법의 영원성에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하지만 물리적 세계와 관련된 실무한(the actual infinite)이나 추상 내에서(in abstracto) 존재하는 초한적 무한(the transfinite)으로의 해석을 배제할수도 없다고 본다. 만약 겁(劫) 이상의 시간을 모두 모호한 무한의 개념으로만 본다든지 무분별지(nirvikalpa-jnana)라고 한다면 구분의 차이성은 의미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물리적 세계와 관련된 실무한으로 본다면 무시무종(無始無終)한 불교적 시간성에 절대적 논리를 부여하게 되는 셈이다. 그리고 초한적 무한으로의 접근은 추상이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붓다의 존재성이나 사건의 발생에 대한 시간개념에 대해 한 가지로만 규정하기보다는 이 세 가지의 무한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본다. 붓다가 인식하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대상은 범부가 인식하는 것보다 넓고 큰 범주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된 시간개념의 표현인 ``수``에 대한 의미부여도 다를 수밖에 없다. 멀고 아득한 것처럼 보이는 시간은 범부가 다가갈 수 없는 초월성과 무한성을 의미하는 시간이 아니라, 범부가 잡을 수 있는 가능한 시간이며 붓다와 교감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범부가 붓다와 교감하는 상황이 되면 멀고 아득하게 느껴진 시간은 가역적이고 비 균질적인 시간으로 다가와 카이로스와 크로노스의 이중적 조화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ime concept`` contained within the ``number`` expressed as ``kalpa (劫),`` one of the numbers expressing time at the ``Lotus Sutra.``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obability i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s by Buddha, which are heterogenous and fluid yet reversible, offer specific substance rather than analogy and symbolism by simultaneously understanding the time described at ``Lotus Sutra`` with ``Kronos,`` objective time, and ``Kairos,`` subjective time. It appears that the time concept expressed based on the basic unit of ``kalpa`` is concurrently placed at the center of the mobility of time and the principal agents of cognition. Thus, it is to raise questions whether to interpret ``immeasurability`` and ``mystery`` amongst the expressions of time concepts from ``Lotus Sutra`` as the meaning of vague infinity representing ``too many to count at all`` or ``unimaginable even to count based on human understandings`` or to interpret them as finiteness where ``immeasurability`` is ``1068`` while ``mystery`` is ``1064.`` It is general consensus that the issues with the existence of Buddha are based on the eternity of teachings not on the significance of eternity of lif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interpretations as the actual infinite related to the physical world or as the transfinite existing within abstracto cannot be completely overlooked. And if it is deemed as the actual infinite related to the physical world, it might as well grant an absolute theory of buddhistic time which is without beginning and without end. Time and space recognized by Buddha must be within wider and bigger scope than what most people would perceive. Therefore, the meaning imposed on the ``number`` described above as the time concept just has to be different as well. Time that seems far distant and remote is not the time representing transcendence and infinity which ordinary people can hardly approach, and it will be the time to commune with Buddha. Consequently, when ordinary people commune with Budda, the time that has seemed distant and remote will come as reversible and heterogenous time to be recognized as dual harmony of ``Kronos`` and ``Kairo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