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한산성의 승영사찰僧營寺刹 = A study on the military temples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 - Focusing on the role and management of temp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3-533(41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조선 숙종 37년 북한산(혹은 삼각산)에 북한산성北漢山城이 축성된 후 성내에는 승군僧軍이 주둔하는 10개의 승영사찰僧營寺刹이 새로 건립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들 각 사찰에 주목하여 사찰의 위치와 역할, 운영 등을 비롯해 그것의 위상과 불교사적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북한산성이 갖는 중요성과 함께 승군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으로 보인다.
산성의 방위를 위해 승군이 주둔한 승영사찰은 3군영三軍營의 담당구역내에 건축된 3대문大門ㆍ3소문小門ㆍ7암문暗門ㆍ중성重城의 인근에 위치하여 대부분 성곽의 수비를 담당했다. 훈련도감訓鍊都監 소속의 상운사ㆍ서암사ㆍ진국사 등은 북문北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북쪽을, 금위영禁衛營 소속의 보국사ㆍ보광사ㆍ용암사ㆍ태고사 등은 대동문大東門(현 대성문)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동쪽을, 그리고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국녕사 원각사 부왕사 등은 대서문大西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서쪽을 방어했다. 본영인 중흥사에는 승대장僧大將이 승군 전체를 지휘하도록 했고, 각 사찰에는 승장僧將ㆍ수승首僧ㆍ의승義僧 등을 두었다. 산성의 방어를 위해서 3군영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었지만, 각 사찰은 성문에 인접하여 산성방어의 최일선에서 그 역할을 한 것이다.
산성방어의 주역이었던 승군 중 대다수인 의승義僧(정원 350명)은 교대로 근무를 서는 의승상번제義僧上番制로 운영되었고, 이것이 영조 때 방번전防番錢을 납부하는 의승방번제義僧防番制로 전환되었다. 승군제의 변화와 함께 승영사찰의 변화도 불가피하였다. 하지만 사찰 본래의 목적이 산성의 방위였기 때문에 그대로 존속하였지만 승군의 폐지(1894)를 전후해 대부분 폐사되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상운사ㆍ태고사ㆍ진국사(노적사)ㆍ국녕사 등이 명맥을 잇고 있으며 중흥사와 서암사는 복원 중에 있다.
The Bukhan-sanseong Fortress(北漢山城) of Mt. Bukhan-san were built in 1711, in the reign of King Sukjong(肅宗, 1674~1720) of the Joseon dynasty. Afterwards, the 10 military temples in which military monks stationed were newly founded in the fortress. The present writer took notice of these 10 temples, and researched the status and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ncluding the position and management of these temples. This research is such a meaningful work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he system of military monks.
The 10 military temples which were located in the neighborhood of three major gates, three minor gates, seven hidden gates and one inner gate in the three military camp zones were mostly in charge of protecting the castle walls. Sangunsa(祥雲寺), Seoamsa(西巖寺), Jinguksa(鎭國寺) belonging to the Hulleondogam troop(訓練都監) protected the north of fortress around the north main gate, Boguksa(輔國寺), Bokwangsa(普光寺), Yongamsa(龍巖寺), Taegosa(太古寺) belonging to the Geumwiyeong troop(禁衛營) protected the east of fortress around the east main gate. And Guknyeongsa(國寧寺), Wongksa(元覺寺), Buwangsa(扶旺寺) belonging to the Eoyeongcheong troop(御營廳) protected the west of fortress around the west main gate. The master of Jungheungsa(重興寺), the headquarter of military temples, commanded all military monks, and each military temple had a chief monk, a top monk and righteous monks. Though three military camps for protecting the fortress were established, military temples which were located in the neighborhood of several castle gates were in charge of protecting the castle walls in the forefront.
The majority of military monks who were leading group for protecting the fortress were righteous monks(350 monks), and their service were alternated every two months a year. This system was changed into paying taxes instead of military service. It was inevitable that military temples were transformed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military monk system. The majority of military temples lasted because their essential purpose was to protect the fortress, but mostly they were destroyed around the abolition of the military monk system in 1894. Now Sangunsa(祥雲寺), Taegosa(太古寺), Jinguksa(鎭國寺), Guknyeongsa(國寧寺)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北漢山城) are keeping alive, and Jungheungsa(重興寺) and Seoamsa(西巖寺) are being reconstructe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8-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2 | 1.324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