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수운 최제우의 사상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성과 정치 인식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 = Ideological Character and Political Understanding in Suwoon Choi Je-Woo's Thought
저자
양삼석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205(39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The philosophy of Suwoon leaves an impressive lesson for us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ong Hak Revolution which stood for 'Non Violence and Save the People.' In Suwoon's most representative work, Yong Dam Yu Sa, a strong ideological element of thought is contained, as well as elements of literary and religious thought. ‘Si Chon Ju(Heaven is in my Mind),' regarded as the key to Suwoon's philosophy, boils down to 'Dong Gui Il Che(Spiritual Joint)'; and it includes within itself the following ideological character. The first part of it concerns humanitarianism. This comprehends the whole of Suwoon's philosophy in which there is a lane of thought, standing for the respect towards fellow human beings; and this has become the philosophical basis for In Nae Chon(Human is Heaven) thought. The second part of Suwoon's ideological thought concerns fundamental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In Suwoon's philosophy, an attitude of vigilance exists on such discriminating elements among humans as elites-plebeians(Bansang), masters-subjects(Jujong), the rich-the poor(Binbu), legitimate child-illegitimate child(Jokseo), man-woman(Namyeo). It was expressed ultimately as equality consciousness. The third part of Suwoon's ideology concerns enlarging the consciousness of people's rights. Suwoon's view of the people was pointed to political and economic equality; and this has become the basis for Dong Hak thought to be widely supported by the people. The fourth part of Suwoon's ideology concerns patriotism. It originated from critical consciousness towards the reality to which he was exposed. This was realized through applying his humanitarian thought of 'Non Violence and Save the People' to the political reality of his times. The fifth concerns his view of foreign countries. This was expressed as overcoming the small-China-consciousness for erecting an autonomous state, anti-Western forces and anti-Japanese force. Especially his anti-Westernism reflected a vigilance on the Western forces and their increasing encroachment of the East. Suwoon's philosophy was institutionalized at the time of Dong Hak Revolution through a proposal, suggested by the Dong Hak army, for reshuffling government structure and reform. This aspect of his philosophy awakened the slumbering people's consciousness on their rights, their life, and autonomy spirits; and it worked significantly as a cause for the occurrence of revolution, and late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더보기수운 최제우의 사상은 제폭구민을 기치로 발발한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 수운의 대표작으로 인식되고 있는 『용담유사』에는 문학적 측면과 종교적인 의의 못지않게 강한 이데올로기성이 내포되어 있다. 수운 사상의 핵심으로 일컬어지는 ‘시천주’관은 ‘동귀일체’로 수렴되는 바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념성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는 인도주의 사상이다. 이것은 수운의 사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그의 사상 전반에는 인간에 대한 존중의 정신이 내재되어 있는 바 이것은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기초가 되었다. 둘째, 본원적 평등사상이다. 수운의 사상에는 반상(班常), 주종(主從), 빈부(貧富), 적서(嫡庶), 남녀(男女)간 차별에 대한 경계가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평등의식으로 구현되었다. 셋째, 민권의식의 제고이다. 수운의 민중관은 정치적 평등과 경제적 평등을 지향하고 있는 바 이것은 수운의 동학사상이 지역과 신분을 초월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게 되는 바탕이 되었다. 넷째, 구국정신으로 당시의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에서 발원하였다. 이것은 그의 인도주의적 ‘제폭구민’ 사상이 정치 현실에 적용되어 구현된 것이다. 다섯째, 대외관으로 이것은 소중화를 탈피한 자주국가관과, 서세동점에 대한 경계를 드러낸 반서구관, 대일관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수운의 사상들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에 의해 제시된 폐정개혁안으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관념들은 당시의 민중들의 민권, 민생의 정신과 자주의식을 일깨워 동학혁명이 일어나게 되는 기폭제가 됨으로써 한국민주주의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