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의 탐색 = Exploratory Study on Scales of Nursing Education Outcome
저자
이향련 ( Lee Hyang Yeon1 ) ; 오가실 ( Oh Ka Sil2 ) ; 안양희 ( Ahn Yang Heui3 ) ; 이숙자 ( Lee Sook Ja4 ) ; 김인자 ( Kim Inja5 )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60(8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소장기관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전문직관, 지도력,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는 도구들을 탐색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규명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한 지지적 의사소통 능력 측정 도구의 경우 신뢰도가 Cronbach’s=.78로 비교적 신뢰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당도에서는 수렴타당도로 본의사소통 능력과의 상관계수가 .24 (p<.001), 구성타당도로 본집단타당도에서는 다른 학년에 비하여 4학년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의사소통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직 이 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찾을 수 없었으나 대인관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정직하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의사소통하는 사람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존하는 것을 측정하는(Whetten & Cameron, (1998) 본 도구는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간호학의 전인적 간호를 증진시키는 특징이 포함되어 있어 간호학 교육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수렴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한 의사소통 측정도구보다 문항수가 적어 효율성도 높다. 지금까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을 측정한 연구들도 면접을 통한 질적인 자료로 측정하거나(LeBlanc et al., 2009),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Rosenzweig et al., 2008; Yoo & Yoo, 2001)로 측정하고 있어 효율적이면서 객관적인 도구로써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전문직관은 신뢰도가 Cronbach’s a=.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로 본 Yeun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과의 상관계수도 .23으로 유의하였고, 구성타당도를 보기위한 집단 비교법에서는 4학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학년은 2학년으로 나타나 간호학 교육 성과도구로 채택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항목이 19개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Yeun 등(2005)의 도구보다 활용성이 높다. 특히 주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태도를 측정하고 있어 일반적인 간호사에 대한 의견을 묻는 Yeun등(2005)의 도구에 비하여 개인적인 전문직관을 더 민감하게 측정할 것으로 생각한다. 지도력은 신뢰도가 Cronbach’s α=.94로 가장 높았으며 수렴타당도로 본 지도력 도구와의 상관계수도 .1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성타당도로 본 집단비교에서는 4학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학년은 2학년이었다. 문항수가 40문항으로 다소 긴 편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간호 실무에서 4년제 학부 학생의 지도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라는 점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한 Yoon (2004)의 도구는 신뢰도가 Cronbach’s α=.87로 상당히 높은 편이고, 집단비교법에서도 4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 구성타당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그런데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 기술 도구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아 수렴 타당도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몇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 첫째는 비판적 사고 기술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Yoon (2004)의 도구는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는 도구이고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는 비판적 사고 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해석은 비판적 사고 기술과 사고 성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는연구 결과가 뒷받침한다(Raymond, Rachel, & Jenny, 2002). 그러나 두 개념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어(Profetto-Mcgrath, 2003) 이 두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두 번째는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는 Yoon (2004)의 도구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으나 비판적 사고 기술을 측정하는 도구는 정답이 있는 도구인데 자료를 수집할때 이를 설명하지 않고 측정하여 두 도구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성향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정답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본인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비판적 사고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할 수 있으나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설령 비판적 사고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이라고 판단하더라도 본인의 성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내용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향과 기술이라는 특성이 다른 측면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성향은 Likert 척도로 기술은 이분법으로 측정한 것도 상관관계를 떨어뜨린 이유로 보인다. 세 번째는 Yoon (2004)의 도구는 이미 몇 연구에서 사용하여 왔으나 아직도 더 검증이 필요하고,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도 신뢰도가 낮아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작업이 더 필요함을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인 Facione과 Facione (1994)이 개발한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75문항으로 긴 편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한 네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간호교육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판적 사고 측정 도구는 수렴 타당도가 낮게 나와 비판적 기술과 성향을 구분하여 측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더보기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valuate outcome measurement scales of nursing education such a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Survey was done to the students (n=407) enrolled in baccalaureate nursing school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tried to include all grades of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and group comparison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Results: All scales were reliable and valid. Only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was relatively low. It suggested that critical thinking skill and disposition might be measured separately. Also it was inefficient to measure the nursing education outcomes with separate scales.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new integrative scale to measure nursing education outcomes. Al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norm of nursing student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outcomes for the quality control of nursing edu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7-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ch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3 | 1.63 | 2.1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