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식 NFT 디지털 컬렉션의 유형 및 활용 연구 ― 전통 문화 소재의 디지털 컬렉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Chinese NFT Digital Collection ― Focusing on digital collections of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중언어문화연구(The Journal of Study on Language and Culture of Korea and Chin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3-247(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2021년 이후, 대체불가능토큰인 NFT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디지털 자산의 영역이 확장되기 시작했다. NFT는 디지털 아트, 음악, 비디오 클립 등의 형태로도 존재하며, 기존의 금융적 속성 이상의 문화적 가치를 지닌 산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해외 NFT의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국 내에서는 '디지털 컬렉션'이라고 명명하며 금융 및 투기적 속성을 없애고 문화콘텐츠로서의 속성을 강조했다. 또한 국가 정책을 기반으로 NFT와 전통문화를 융합한 콘텐츠를 대중들에게 홍보하며 온라인 문화산업의 확장을 도모했다. 중국이 온라인 문화산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의 특수한 개념인 디지털 컬렉션의 속성을 알아보는 것은 그들의 현대 문화산업의 주안점을 살펴보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대량으로 등장한 디지털 컬렉션을 분류하여, 전통 문화가 디지털 컬렉션이라는 형태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알아본다. 중국은 전통 문화를 재현한 디지털 컬렉션을 오프라인의 굿즈와도 연계시키며 관련 산업 사슬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디지털 컬렉션 산업은 단기간 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이런 콘텐츠가 기존 온라인 콘텐츠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도 생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이 디지털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컬렉션에 녹아들어 있는 그들의 전통 문화적 요소와 디지털 컬렉션의 종류, 그리고 문화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해가는 과정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Since 2021, Non-Fungible Tokens(NFTs), have emerged as a concept gaining global attention. This began to expand not only in monetary terms but also into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artists. In particular, China does not accept foreign NFTs as is, but calls them China's unique 'digital collection' and provides cultural content while removing financial and speculative attributes. Based on national policy, they are promoting content that combines new concept NFT and traditional culture to the public. In a situation where China is investing a huge amount of money in the online cultural industry, examining the properties of digital collec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NFTs in this paper can be seen as a process of examining the main focus of China's modern cultural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lassify digital collections that have recently appeared in large quantities and pay attention to how traditional cultur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digital collections. China is expanding its business ventures by integrating traditional culture with both online and offline products. However,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how these offerings differ fundamentally from existing online content. As China takes active steps in policy and industry to establish itself as a digital powerhouse, it is essential to observe how the country will leverage the new concept of NF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