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과 미군·중국군의 형상화 양상 = The configurational aspects of the U.S. and the Chinese Armies found in novel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by South and North Korean auth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0.0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6(26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본고에서는 남북한 소설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서 한국전쟁 당시 발표된 남북한 소설에서 미군과 중국군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에는 미군과 중국군이 다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등장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연구는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특성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남한 소설은 미군과 중국군의 모습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지는 않으나, 이들의 형상화를 통해 전쟁기 현실의 일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미군은 주로 부정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바, 미군은 매춘 문제와 연관되어 있거나 비인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중국군의 경우에는 적개심을 드러내기보다는 중국군의 참전으로 인한 피난의 고통과 인명 피해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종군작가의 작품에서 우군인 미군은 긍정적으로, 적군인 중국군은 악인으로서 형상화되어 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시제로 대부분의 남한 작가들은 제한된 체험 내에서 자신이 파악한 전쟁기 현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북한 작가에 비해 상대적 자율성을 지닌 남한 작가들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 소설은 남한소설과 달리 보다 구체적으로 미군과 중국군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으나 다소 도식적이다. 미군은 적이기에 모두 악인으로 등장한다. 미군은 잔인한 살인자이면서 비겁한 겁쟁이로 형상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군은 우군이기에 모두 선인으로 등장한다. 중국군은 ‘중국(인민)지원군’으로서 북한의 인민군과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형제와 같은 존재이며, 이러한 내용의 이야기는 여러 작품에 반복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도 김일성의 지침과 이를 근거로 한 당 문예정책에 충실하고자 한 북한 작가들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전쟁에 참가한 미군과 중국군이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제 남은 과제는 논의 대상을 좀 더 확대하여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전반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전쟁기에 발표된 작품 중 본고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작품에 대한 검토는 물론 원본 확인 작업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configurations of the U.S. and the Chinese Armies, in the views of novelists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were discussed as part of a comparative study of two Korean novels. As two Korean novels during the Korean War contained the stories of the U.S. Army and the Chinese Army more often than in other periods, this paper would contribute to dis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novels.
The U.S. Army in the South Korean novels was configurated in a negative way. Few South Korean novels involving the view that the U.S. Army, an allied army, was a hero for South Korea or was appreciated were found. In the case of the Chinese Army, the South Korean novels showed realistically that the allied forces' retreat resulting from China's entry into the war led to the tragic division of the peninsula. Most of the works were given weight by a realistic description of casualties and the agony of refugee life rather than hostility against the Chinese Army. The authors tried not only to criticize the War in the humanitarian aspect but to describe real life during the War.
The North Korea novels were very schematic, unlike South Korea's. The U.S. Army appearing in the novels was presented as an evil, a cruel murderer, and an abject coward. The Chinese Army, in contrast, was described as the good force simply because it was the allied army of North Korea. The Chinese Army as' a Chinese support troop' was depicted as a brother to North Korea so that they could help each other. Similar stories were repeatedly found in various works. It is assumed that the North Korean works con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adhering to the literary policy of the Party based on Kim, Il-sung's instruction rather than on reality itself.
The configurational aspects of the U.S. Army ad the Chinese Army have been examined so far. The discussion needs to be expanded to allow a broader perspective of the literary publications by authors from South and North Korea during the War for comparison and examination. In order to do so, the examination of other works not mentioned in this paper amo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novel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should be done together with the verification of the original work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상현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