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 = Request for Reviewing the Study of Sino-Korean Literature from Foreign Academic Worl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48(40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concept of “Sino-Korean Literature” refers to not on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a narrow sense, but also traditional humanities in a broad sense. “Sino-Korean Literature” in a narrow sense is based on traditional humanities i.e. Sino-Korean Literature in a broad sense, and Sino-Korean Literature in general has developed based on philology. It is needed to exma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onsider “Sino-Korean Literature” in a narrow sense and to sketch the phase of development of it as they keep close relationships.
The traditional meaning of the term “literature” or “letters” (文) in premodern Korea as elsewhere in East Asia encompassed a wider scope than th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文學). It refers not only to refined writing in Literary Chinese, but also to more utilitarian public and private writings in Literary Chinese composed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Thus, “Sino-Korean literature” includes not only literary writings but also historical records, scholarly essays, public documents such as diplomatic correspondence, and private texts such as correspondence in Literary Chinese. Works in Literary Chinese with interspersed vernacular expressions also belong under the purview of Sino-Korean literatur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is broad sense and to reconstruct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its own context. This reflection is raised from foreign academic world with the request for reviewing the study of Sino-Korean literature. This article focuses to the following matters among the requests from foreign academic world.
①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East Asia and its circumstances ②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e ③ to reconstruct the context of writing and to write biographies ④ to construct history of controversies and thoughts ⑤ to reflect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ncept of traditional 文 was established,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文 and political power
It is true that there was a invisible boundary that limited the research area concerning its era and subject etc. in studying Sino-Korean literature and it was rather neighboring country scholars who achieved lots of research results concerning literature in North South States Period and Koryo Period.
There are also several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a broad sense by understanding the term “literature” in premodern period not with the modern Western concept of “literature” but with a concept with wider scop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edited by Komine Kazuaki,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edited by Kono Kimiko and Wiebke Denecke,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dited by Wiebke Denecke, Wai-Yee Li, Xiaofei Tian. These attempts correspond to that of professor Zhang Bo-wei that comprehends the culture and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a broad sense with the concept of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literature”.
It is needed that Sino-Korean literature study scholar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gionalism and reconstruct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East Asia with their own approach.
한문으로 쓰인 국문학 작품을 가리키는 협의의 한문학은 전통인문학(광의의 한문학)을 바탕으로 성립하며, 광의의 한문학과 협의의 한문학은 다시 기초학(소학과 문헌학)을 토대로 발전해 왔다. 이 셋은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협의의 한문학에 대하여 연구하거나 그 발전상을 고찰할 때 그 셋의 관계를 살펴야만 한다. 또한 한문학은 문언어법의 한문을 사용하여 한국 민족의 사상 감정을 표현한 문학, 역사 사실의 기록, 학문적 사색의 논술, 사대교린의 외교 관계나 공적, 사적 생활에서 작성한 문건을 모두 포괄한다. 근대 이전에는 ‘문’이라 하면 학술과 문학을 포괄했고, 협의의 ‘문’이라고 해도 순문학만이 아니라 공용문이나 실용문까지 아울렀다. 게다가 문언어법의 한문을 주로 사용하되 한국어 어법을 적용하면서 이두를 붙인 표기법을 사용한 표기체계의 시문과, 한자를 음차(音借)와 차자(借字)의 방식을 결합해서 제작한 시문도 민족문학의 일부를 이루어왔다.따라서 한문학을 그 광의의 의미에서 파악하고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그 콘텍스트 내에서 재구성하는 일이 지금 한문학 연구에 주어진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각성은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와 맞물려져 더욱 첨예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한국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요구 가운데 다음과 같은 점을 특별히 주목했다.
①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개념과 실상 파악 ②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 연구방법의 새로운 도입 ③ 저술 콘텍스트의 재구성 혹은 전기(傳記)의 작성 ④ 논쟁사와 사상사의 구상 ⑤ 고전적 ‘문’의 환경에 대한 고찰, ‘문’과 권력의 문제에 대한 성찰
현재 한국한문학 연구는 시대, 주제의 면에서 스스로 구획을 짓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국시대의 문학이나 고려시대의 문학에 대해서는 인접 국가 지역 연구자들의 연구가 더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내의 한문학 연구자들은 인접 국가의 정리에 스스로의 자료를 내맡기는 무기력함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小峯和明 편의 『일본문학사』, 河野貴美子․Wiebke DENECKE 주편의 『일본「문」학사』, 옥스퍼드 대학의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등은 모두 근대 이전의 문학을 서구적 문학의 개념이 아니라 전통적인 ‘문’의 개념에서 파악하고, 문학의 흐름을 테마 별로 조망하며, 한자문화권의 한정된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한자문화권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것은 장보웨이 교수가 ‘한문화권’이란 용어를 사용하면서 동아시아 한문학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는 경향과도 상응한다. 한국한문학 연구도 지역주의의 한계를 돌파하여 동아시아 한문학의 역사를 독자적 관점에서 재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3 | 1.005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